병원 형 Wee센터에서의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학교적응, 공감,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

' 병원 형 Wee센터에서의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학교적응, 공감,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anxiety
  • depression
  • empathy
  • groupart-therapy
  • hospital-type wee center
  •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
  • 공감
  • 병원형 Wee센터
  • 불안
  • 우울
  • 집단미술치료
  • 청소년 학교 적응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0,510 0

0.0%

' 병원 형 Wee센터에서의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학교적응, 공감,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' 의 참고문헌

  • 협동화 중심 집단 미술 치료 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
    박정민 [2017]
  • 협동중심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
    신휘 [2013]
  • 협동작업 중심의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초등학생의 자기표현, 또래관계,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
    표한순 [2016]
  •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
    양지원 [2015]
  • 한국판 단축 공감척도의 타당화
    여지영 [2012]
  • 학교표현예술치료; 임상 감독과 프로그램 개발 가이드
    Frost, K. [2007]
  • 학교폭력 예방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공감 능력과 또래관계의 질 향상에 미치는 효과
    이미영 [2020]
  • 학교부적응 청소년 집단미술치료 매뉴얼 개발을 위한 프로그램 연구
    최은진 [2016]
  • 학교미술치료의 현황과 발전방향
    이근매 [2016]
  • 학교 중도 탈락 청소년의 공감 향상을 위한 집단 미술치료 사례 연구
    오희경 [2005]
  • 학교 미술치료 발전방안을 위한 미술치료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조사 연구. 중·고등학교 청소년과 교사, 상담(교)사를 중심으로
    남금정 [2017]
  • 투사 그림검사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
    최진숙 [2014]
  • 초등학생의 공감능력과 사회적 능력이 학교생활적응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
    이옥희 [2010]
  •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공감 능력 및 자기조절 능력과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
    조혜경 [2015]
  • 청소년의 주의집중 및 공감 향상을 위한주제제시 형식의 집단미술치료 효과
    정명선 [2010]
  • 청소년의 문화자본이 공감능력 및 학교적응에미치는 영향
    이병관 [2018]
  • 청소년의 대인간 외상경험이 품행문제에 미치는 영향: 정신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
    최현아 [2017]
  • 청소년용 정신화 프로그램의 학생정신건강 증진효과 평가
    문수진 [2012]
  • 청소년 정서조절과 정신건강을 위한 정서 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
    김태희 [2015]
  • 청소년 상담학 개론 (한국문헌번호센터에서 검증 완료)
    정여주 [2014]
  • 청소년 공감능력이 학교생활 적응과 학교폭력타도에 미치는 영향
    박찬경 [2014]
  •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우울`불안에 미치는 효과
    김영아 [2007]
  •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
    김은주 [2015]
  •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
    류정미 [2017]
  •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우울과자살생각에 미치는 효과
    이명주 [2013]
  •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 우울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
    김지은 [2013]
  • 집단미술치료가 위 클래스 청소년의 자아정체성에 미치는 효과 연구
    김빛샘 [2017]
  •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
    정은주 [2010]
  • 집단미술치료가 시설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
    서정훈 [2012]
  • 집단미술치료가 시설아동의 공감능력과사회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
    정은아 [2017]
  • 집단미술치료가 시설아동의 공감능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
    송민정 [2015]
  • 집단미술치료가 시설아동의 공감 능력과 사회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
    정은아 [2016]
  • 집단미술치료가 소년보호교육기관에 입원한 여자비행청소년의 내적통제와 우울·불안에 미치는 효과
    권진아 [2012]
  • 집단미술치료가 부적응 아동의 자기 효능감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
    이소정 [2010]
  •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
    임은실 [2016]
  • 집단미술치료 방법론: 이론과 기법
    옥금자 [2006]
  • 중학생의 학교적응 구성개념에 관한 연구
    이규미 [2005]
  • 중학생 학교적응 척도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타당화 연구
    이규미 [2008]
  • 정서・행동적 어려움 학습자의 미술적 표현 특성과 미술 교육적 모색
    이현아 [2019]
  • 자아상 탐색을 통한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자존감 향상 및 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
    백양희 [2013]
  • 입체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학교 부적응 청소년의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효과
    김미희 [2015]
  • 임상미술치료학
    Wadeson, H [2012]
  •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
    김영란 [2017]
  • 인간중심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
    김서안 [2016]
  • 이구동성미술치료: 미술치료이론의 종합편 (Approaches to art therapy: Theory and technique)
    주리애 [2012]
  • 여성청소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우울에 미치는 효과
    노대겸 [2019]
  • 세 가지 그림검사
    Silver, R. [2007]
  • 상담자 자기성찰(Self-Reflection)에 대한 고찰
    황주연 [2010]
  • 상담 및 심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
    김창대 [2011]
  • 부모의 공감적 양육과 청소년의 공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
    최나래 [2014]
  • 부모 성찰 기능 척도와 청소년 성찰 기능 타당화 및 적용 연구; 청소년 심리 사회적 적응과 관련성을 중심으로
    박민경 [2019]
  • 병원장면에서 이야기 그림검사(Draw-A-Story)의 선별도구로서의 유용성- 임상집단(우울장애, 조현병)과 비임상집단 중심으로 -
    지혜정 [2016]
  • 병원 형 Wee 센터 운영지침
  • 발산적 기법 중심 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우울과 대인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
    송현종 [2014]
  •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생의 우울증 청소년 미술치료 현장실습 체험연구
    송지선 [2016]
  • 미술치료의 치료요인 범주화 연구 - 수련감독 미술치료전문가를 대상으로 -
    이영숙 [2017]
  • 미술치료의 이해
    최외선 [2006]
  • 미술치료와 신경과학-관계, 창조성 그리고 탄력성
    김갑숙 [2018]
  • 미술치료와 미술교육이 아동의 미술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
    손혜주 [2010]
  • 미술치료에서의 심리평가: 미술치료평가와 투사적 그림검사를 중심으로
    강차연 [2006]
  • 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우울 및 감정표현에 미치는 영향
    성복순 [2006]
  • 미술치료 기법과 적용
  • 미술심리치료학
    Wadeson, H [2008]
  • 미술매체를 활용한 프로그램이 성학대 아동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
    양은주 [2016]
  • 미술교육에서 정서 표현 교육을 위한 교수 학습 개념 연구
    김경순 [2014]
  • 목재매체를 이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시설아동의 위축과 우울/불안에 미치는 효과
    송경환 [2012]
  • 만다라를 이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미디어 중독 청소년의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효과
    장미림 [2016]
  • 만다라 미술치료 워크북
  • 루빈의 통합적 예술치료 읽기
    Rubin, J. A [2007]
  •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과 이야기 그림검사(Draw-A-Story) 반응 특성 연구
    김태희 [2014]
  • 대인관계훈련 프로그램이 학교생활 부적응 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
    지복희 [2011]
  • 교육복지 거버넌스 혁신 방안 연구
    황준성 [2018]
  • 가정폭력을 경험한 청소년의 집단미술치료 사례 연구: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중심으로
    김문희 [2017]
  • 가정폭력을 경험한 청소년의 불안 우울 및 우울 감소를 위한 미술치료 사례 연구
    최재화 [2020]
  • 『현대이상심리학』
    권석만 [2006]
  • 『미술치료학』
    주리애 [2010]
  • 『미술심리진단 및 평가』
    주리애 [2015]
  • “학교미술치료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정서표현과 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미술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”
    홍현정 [2018]
  • “중학생의 자살과 DAS 반응특성연구: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중심 으로.”
    박치홍 [2014]
  • Wee클래스 상담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 비교 -학부모 인식을 중심으로
    김수정 [2019]
  • Wee센터 학교상담자 역할에 대한 Wee센터 상담실무자의 인식: ASCA 학교상담모형을 중심으로
    이혜은 [2019]
  • Utility of a new procedure for diagnosing mental disorders in primary care: the PRIME-MD 1000 study
  • The measurement of reflective function in adolescents with and without borderline traits
    Ha, C. [2013]
  • The empathy quotient: An investigation of adults with Asperger syndrome or high functioning autism, and normal sex differences
  • The PHQ-9 : a new depression diagnostic and severity measure
    Kroenke K [2002]
  • The Handbook of School Art Therapy
    이경원 [2008]
  •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
  • Is adolescence a sensitive period for sociocultural processing?
  • Handbook of Program Development in Health Behavior Research and Practice
    Sussman, S [2001]
  • Empathetic an unappreciated way of being
  • Development of short forms of the Empathy Quotient(EQ-Short) and the Systemizing Quotient(SQ-Short)
  • Art-Based Group Therapy Theory and Practice
    Moon, B. [2010]
  • Art therapy for children: How it leads to change
    Waller, D. [2006]
  • Art Therapy and Social Action
    Kaplan, F [2007]
  • A brief measure for assessing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: the GAD-7
    Spitzer RL [2006]
  • 52가지 창조적 집단치료 훈련
    Dossick, J [2015]
  • 2019년 교육 기본동계 주요 내용