철원의 문화적 재현을 통해 본접경도시의 정동적 지형학

신진숙 2020년
' 철원의 문화적 재현을 통해 본접경도시의 정동적 지형학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Affective Urbanism
  • Borderscapes
  • Emotional Geography
  • Structures of Feeling
  • The Border City Cheolwon
  • 감정 지리학
  • 감정구조
  • 경계-경관
  • 접경도시 철원
  • 정동적 도시론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58 0

0.0%

' 철원의 문화적 재현을 통해 본접경도시의 정동적 지형학' 의 참고문헌

  • 햇볕정책(1998-2008)이 남북한 접경지역 변화에 미친 영향 : 문화지리학적 관점에서
  • 한반도의 신지정학 : 경계, 분단, 통일에 대한 상상력
    박배균 [2019]
  • 한국인의 분단적대성 구축 서사의유형과 의미
    김종군 [2020]
  • 통일문화의 세 가지 키워드 : 분단문화, 헤테로토피아, 문화-정치
    김종곤 [2017]
  • 철원기행
  • 조선산업을 통해 본 산업도시의 정동 정치 - 정동적 도시론을 중심으로 -
    신진숙 [2019]
  • 정치적 풍경에서 일상적 정원으로 : 유곡리 통일촌 정원 고찰
    조성아 [2017]
  • 정착촌 월남인의 생활경험과 정체성 : 속초 ‘아바이마을’과 김제 '용지농원’을 중심으로
    김귀옥 [1999]
  • 정동정치
    조성훈 [2018]
  • 정동이론: 몸과 문화, 윤리, 정치의 마주침에서 생겨나는 것들에 대한 연구
  • 예외상태
  • 분단체제의 공간성 : DMZ와 접경지역의 로컬리티를 중심으로
    박민철 [2017]
  • 분단 접경지역 문학공간의 의미 -철원 배경의 소설을 중심으로­-
    박덕규 [2014]
  • 민통선사람들
    임동헌 [2000]
  • 민북마을 역사기록물 발간사업 : 대마리 역사 이야기
  • 마르크스주의와 문학
  • 남북 분단 영화의 감정 구조
    김명신 [2019]
  • 기억의 공간 : 문화적 기억의형식과 변천
  • 경계에서 분단을 다시 보다
    최완규 [2018]
  • 경계에서 꿈꾸는 집
  • 강원도 민북마을의 경험과 기억, 그리고 미래
    박소영 [2018]
  • 갇힌 평화와 조강(祖江)의 공존: 경기도 민통선마을 주민들의 기억과 경험
    김일한 [2017]
  • ‘위험한 평화’와 공존하기: 강원도 민통선마을 주민들의 기억과 경험
    김일한 [2016]
  • ‘분단적대성’의 역사적 발원과 감정구조
    김종곤 [2018]
  • ‘Korean DMZ Peace Park’ and the Landmine Problem
  • landscape
    Wylie, John [2007]
  • [단행본]공간의 생산
  • Toward an anthropology of landmines : Rogue Infrastru cture and Military Waste in the Korean DMZ
  • The Cultural Politics of Emotion
    Ahmed, Sara [2014]
  • On the Ruins: Forgetting and Awakening Korean War Memories at Cheorwon
    정근식 [2017]
  • Non-Repres entational Theory: Space, Politics, Affect
  • KBS 특집 다큐 DMZ 묻다
  • Intensities of Feeling : Towards a Spatial Politics of Affect
  • Film, Geopolitics and the Affecti ve Logics of Intervention
  • Encountering Affect: Capacities, Apparatuses, Conditio ns
  • Emotions and Affect in Recent Human Geography
    Pile, Steve [2010]
  • Emotional Geographies
  • Embodying Emotion Sensing Space:Introducing Emotional Geographies
  • DMZ 접경지역 평화관광을 통한 지역 자원 활용의 특성 변화: 철원을 중심으로
    김지나 [2019]
  • After or beyond Feeling? A Consideration of Affect and Emotion in Geography
  • Affective Urbanism and the Event of Hope
  • 1945, 철원
    이현 [2012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