통사적 숙달도 측정을 통한 작문에서의 문장 학습 효과 연구 - 학습자 E의 문장 학습 사례를 중심으로

김철희 2020년
' 통사적 숙달도 측정을 통한 작문에서의 문장 학습 효과 연구 - 학습자 E의 문장 학습 사례를 중심으로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Syntactic proficiency
  • learning potential evaluation
  • sentence education
  • triangulation verification
  • writing education
  • 문장교육
  • 삼각검증
  • 작문교육
  • 통사적 숙달도
  • 학습잠재력 평가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291 0

0.0%

' 통사적 숙달도 측정을 통한 작문에서의 문장 학습 효과 연구 - 학습자 E의 문장 학습 사례를 중심으로' 의 참고문헌

  •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와 말하기에 나타난 복잡성, 정확성, 유창성의 역동적 발달 연구
    이복자 [2015]
  •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자료에 나타난 복잡성 및 정확성 연구 -숙달도 측정 지표로써의 활용 가능성-
    주우동 [2019]
  • 한국어 학습자의 구어 산출에 나타난 통사 복잡성 발달
    남주연 [2015]
  • 한국어 학습자의 구어 복잡성 연구 - 통사 및 어휘 복잡 성을 중심으로
    남주연 [2015]
  • 한국어 숙달도와 산출 능력 간의 상관관계 연구
    김영주 [2013]
  • 학술적 에세이에 나타난 대학생의 문장 구성 양상 연구
    이재성 [2012]
  • 학령기 일반아동의 설명담화 쓰기자료에 나타난 문어적 특성
    김정미 [2015]
  • 표현 문법 관점의 문장 초점화 교육 내용 연구
    오현아 [2010]
  • 통사적 숙달도 진단을 통한 한국어 학습자의 중간언어 발달 연구: 학습자 작문 텍스트의 분석을 바탕으로
    서세정 [2009]
  • 텍스트 속 문장 쓰기와 문법
    주세형 [2007]
  • 질적연구 및 평가 방법론
  • 작문에서의 문장 학습잠재력 진단평가 연구 - 표준화된 접근을 중심으로
    김철희 [2018]
  • 작문교육에서 문장 쓰기 지도의 방향
    유혜령 [2011]
  • 작문 학습잠재력 평가 사례연구 - 교수대화를 중심으로 -
    김철희 [2016]
  • 읽기쓰기 능력 발달을 위한 문장 교육 교재 개발 연구
    이춘근 [2003]
  • 읽기·쓰기 능력 발달을 위한 문장 교육 교재 개발 연구 –문장 성분 지도를 중심으로-
    이춘근 [2003]
  • 언어발달
    Hoff, E. [2014]
  • 언어발달
  • 언어 숙달도 평가에서 MLU 측정법의해석 타당성에 대한 일고
    김명광 [2016]
  • 쓰기와 구성적 언어 지식과의 상관성 연구
    송현정 [1997]
  • 쓰기 평가 연구의 주요 과제
    박영목 [2008]
  • 쓰기 텍스트 분석을 통한 한국어 학습자의 통사적 숙달도 측정 연구
    박지순 [2009]
  •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문법 교육 방안 연구
    황재웅 [2007]
  • 쓰기 교육과 읽기 교육에 대한 텍스트언어학적 연구 동향
    박영목 [2001]
  • 쓰기 敎育을 위한 代案的 文章 槪念
    주세형 [2005]
  • 소설 텍스트의 문장 복잡도 연구 - 자동화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-
    정대영 [2015]
  • 설명과 경험이야기에 나타난 학령기 아동 및 청소년의 구문발달 특성
    김자성 [2011]
  • 문형 학습을 통한 문장 구성력 신장 방안
    조태희 [2001]
  • 문장 분석에 기초한 문장 쓰기 교육의 효과 및 문장 구성의 특징연구-대학생 필자의 칼럼 글을 대상으로
    이재성 [2014]
  • 문장 변형 지도 연구
    이춘근 [2004]
  • 문장 바꾸기 지도 연구
    이춘근 [2003]
  • 문장 능숙도에 따른 대학생 글의 문장 특성 연구
    이재성 [2009]
  • 문장 구성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내용 연구
    이지수 [2010]
  • 문장 교육의 필요성
    이춘근 [2001]
  • 문법 지식에 기초한 문장 교육이 글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
    이재성 [2010]
  • 문법 능력과 작문 능력 간의 상관성 고찰 -고등학교 1학년생의 논술문을 중심으로-
    유혜령 [2011]
  • 대학생 글쓰기의 텍스트 비교 분석 연구-능숙한 필자와 미숙한 필자의 텍스트에 나타난 특징을 중심으로
    정희모 [2008]
  • 다문화 학습자 통사적 복잡성 측정법에 대한 현황과 과제
    김명광 [2016]
  • 내러티브 쓰기에 나타난 청소년의 어휘 산출과 구문 복잡성
    전유경 [2016]
  • ‘언어적 주체’ 형성을 위한 문법 교육의 방향
    신명선 [2013]
  • ‘문장 확대’ 교육 내용의 다층성 연구
    조진수 [2015]
  • The Influence of planning and task type on second language performance
    Foster, P. [1999]
  • T-unit 분석방법과 문장합성연습
    유재임 [2005]
  • SVO 언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의 작문에 나타난 문장의 통사적 복잡성과 다양성 연구
    김의수 [2010]
  • L2 한국어 학습자의 종속절 산출과 통사적 복합도
    백준오 [2015]
  • L2 한국어 문어 산출에서의 통사 복잡성 측정
    남주연 [2016]
  • Grammatical structures written at three grade levels
    Hunt, K. W. [1965]
  • A Generative rhetoric of the sentence