「무의」를 통한 일제강점기 <장생보연지무> 연구: 정재무도홀기와 비교를 중심으로

' 「무의」를 통한 일제강점기 <장생보연지무> 연구: 정재무도홀기와 비교를 중심으로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Court dance
  • Dance of longevity)
  • Jangsaengboyeonjimu (長生寶宴之舞
  • Jeongjaemudoholgi (呈才舞蹈笏記
  • Mu-ui (舞義
  • Scroll document of court dances)
  • Seong Gyeong-rin
  • Yiwangjikaakbu (李王職雅樂部
  • ritual of dance)
  • the downgrated insitution of Jangakwon
  • 궁중무용
  • 무의
  • 성경린
  • 이왕직아악부
  • 장생보연지무
  • 정재무도홀기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17 0

0.0%

' 「무의」를 통한 일제강점기 <장생보연지무> 연구: 정재무도홀기와 비교를 중심으로' 의 참고문헌

  • 현행정재의 전통-1920년대의 무동정재를 중심으로 [Hyeonhaeng jungjaeui jeontong: 1920nyeondaeui mudong jungjaeleul jungsimeulo, A Study on the Tradition of Current Jungjae: Focusing on Mudong Jungjae in 1920’s]
    성경린 [1980]
  • 한국궁중무용총서10: 박접무 연백복지무 장생보연지무 춘앵전 [Hanguk-gungjung-muyong-chongseo10: bakjeobmu yeonbaegbogjimu jangsaengboyeonjimu chun-aengjeon, Korean Court Dance Series 10: Bagjeob Dance, Yeonbaegbogji Dance, Jangsaengboyeonji Dance, Chunaengjeon]
    이흥구 [2010]
  • 조선후기 의궤를 통해 본 정재 연구
    조경아 [2009]
  • 조선무악[Joseonmuak, Music and Dance of Joseon Dynasty]
  • 조선 方位形 춤의 五行的 특징 ? 5人 呈才舞圖의 象變을 중심으로
    이종숙 [2006]
  • 정재무도홀기[Jeongjaemudoholgi, The Ceremony Scription of Jeongjae Dance]
  • 정재무도홀기[Jeongjaemudoholgi, The Ceremony Scription of Jeongjae Dance]
  • 정재무도홀기 장생보연지무와 현행 장생보연지무 비교연구[Jeongjae mudoholgi jangsaengboyeonjimuwa hyeonhaeng jangsaengboyeonjimu bigyo-yeongu, A Comparative Study of Jangsaengboyeonjimu in 19th century and 21th century]
    배수현 [2019]
  • 정재 무보체계의 보완과 방안마련 연구 Ⅲ
    손선숙 [2008]
  • 장생보연지무에 대한 일고찰 [Jangsaengboyeonjimu-e daehan ilgochal, A Study of Jang-Saeng-Bo-Yeun-Ji-Moo]
    황인옥 [1986]
  • 장생보연지무, 연백복지무, 제수창, 최화무 복식에 관한 연구
    남후선 [2013]
  • 장생보연지무(長生寶宴之舞)와 보살만(菩薩蠻)의 관계에 대한 고찰
    박은옥 [2018]
  • 이왕직아악부의 정재 음악 연구 - 이병성ㆍ성경린 무보를 중심으로 -
    이종숙 [2017]
  • 이왕직아악부의 교토 공연 연구
    이수정 [2012]
  • 이왕직 아악부의 궁중무 전승
    김영희 [2016]
  • 의궤 정재도의 도상학적 연구(Ⅱ): <보상무> · <수연장> · <장생보연지무> · <향령무> · <헌선도>를 중심으로
    손선숙 [2015]
  • 음향오행사상에 영향받은 조선후기 정재 연구: 최화무・장생보연지무・연백복지무 중심으로 [Eumhyangohaeng sasang-e yeonghyang badeun joseonhugi jeongjae yeongu: choehwamu,jangsaengboyeonjimu, yeonbaegbogjimu, jungsimeulo,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rrangingMusical Instruments for National Classical Orchestra]
    최경자 [1997]
  • 심소(心韶) 김천흥(金千興)의 궁중무용 복원양상: <무고(舞鼓)>, <장생보연지무(長生寶宴之舞)>를 중심으로
    위송이 [2017]
  • 순종탄신 오순 경축 기념연의 무동정재와 음악
    이수정 [2016]
  • 무의[Muui, The Ceremony of Court Dance]
  • 무의
  • 무동정재[Mudongjeongjae, Court Dance of Dancing Boy]
  • 궁중홀기속의 우리 춤과 음악찾기[Gungjung holgisogui u-ri chumgwa eumag chatgi, A Search for our Dance and Music in Court Ceremony Scriptions]
    송방송 [2009]
  • 고종신축진연의궤 권1 [Gojongsinchukjinyeonuigew 1, The Royal Book of the King Gojong in 1901]
  • 長生寶宴之舞 硏究
    黃仁玉 [1985]
  • 現行 呈才에 나타난 散作花舞 硏究
    손선숙 [2003]
  • 20세기 초 궁중정재의 발현양상-1931년도 영상자료를 중심으로-
    손선숙 [2010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