진흥왕 집권 후반기 사방(四方) 의식의 표방과 불교의례 - 사방의 구심점으로서 ‘신라 만들기’ -

임평섭 2020년
논문상세정보
' 진흥왕 집권 후반기 사방(四方) 의식의 표방과 불교의례 - 사방의 구심점으로서 ‘신라 만들기’ -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Awareness about the Four Directions
  • Buddhist Ritual
  • King of Jinheung
  • Sunsu
  • Territorial Expansion
  • 불교의례
  • 사방 의식
  • 순수
  • 영토확장
  • 진흥왕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48 0

0.0%

' 진흥왕 집권 후반기 사방(四方) 의식의 표방과 불교의례 - 사방의 구심점으로서 ‘신라 만들기’ -' 의 참고문헌

  • 「5~7세기 신라 국정운영과 대등
    양자량 [2019]
  • 황룡사 강경법회 -신라 강경법회의 유형과 관련하여-
    김복순 [2017]
  • 해동고승전
  • 함안 성산산성 木簡을 통해 본 新羅의 지방사회 구조와 수취
    김창석 [2016]
  • 한국사특강
    최병헌 [1999]
  • 창녕신라진흥왕척경비
  • 진흥왕과 전륜성왕사상- 아쇼카 ‘따라하기’와 ‘넘어서기’를 중심으로
    윤세원 [2017]
  • 지상에 降臨한 天皇大帝로서 朴赫居世
    金台植 [2005]
  • 신라의 백고좌법회
    김복순 [2010]
  • 신라서원소경연구
    양기석 [2002]
  • 신라 흥륜사 彌勒像과 황룡사 丈六尊像 그리고 진흥왕과 거칠부
    노중국 [2016]
  • 신라 황룡사의 창건과 진흥왕의 왕권 강화
    최선자 [2013]
  • 신라 진흥왕대의 새 영토·주민 시책
    이일규 [2019]
  • 신라 진흥왕대의 국가발전과 정치사상 - 진흥왕순수비·황룡사장육존상 조성의 역사적 의의 -
    최병헌 [2019]
  • 신라 지방통치체제의 정비과정과 촌락
    주보돈 [2007]
  • 신라 중고기의 ‘代法’과 역역동원체계 -함안 성산산성 출토 218호 목간을 중심으로-
    강나리 [2019]
  • 신라 중고기 진흥왕계 왕실의 구축과 정치 이념 연구
    고현아 [2016]
  • 신라 중고기 정치사회 연구
    이정숙 [2012]
  • 신라 국가제사와 왕권
    채미하 [2008]
  • 신라 眞興王代 使大等 편제의 역사적 성격 —眞興王昌寧碑를 중심으로—
    강재광 [2008]
  • 신라 眞興王 즉위 前後 정치세력의 동향
    朴成熙 [2001]
  • 신라 5소경의 설치와 서원소경
    양기석 [1993]
  • 삼국유사
  • 삼국시대 전쟁과 국경
    장창은 [2020]
  • 삼국사기
  • 불교의 정법치국의 이념과 신라정치체제에서의 수용* -신라의 삼국통일 이전 시기를 중심으로-
    조현걸 [2009]
  • 마운령신라진흥왕순수비
  • 동아시아 도성제都成制와 고구려 장안성長安城 : 6~8세기 도성의 가로구획街路區劃 방식을 중심으로
    김희선 [2010]
  • 단양신라적성비
  • 국가불교의 ‘호법’과 참여불교의 ‘호국’ - 호국불교의 전개와 의미
    고영섭 [2013]
  • 고려의 국가 불교의례와 문화
    안지원 [2006]
  • 고대로부터의 통신
    강봉룡 [2003]
  • 고구려 남방 진출사
    장창은 [2014]
  • 韓國古代史硏究
    李丙燾 [1976]
  • 韓國 古代社會의 軍事와 政治
    金瑛河 [2002]
  • 譯註 韓國古代金石文
  • 磨雲嶺 眞興王巡狩碑의 近侍隨駕人에 관한 檢討
    李道學 [1992]
  • 眞平王의 卽位를 전후한 政局動向
    李晶淑 [1994]
  • 皇龍寺의 造營과 王權
    양정석 [2004]
  • 皇龍寺의 創建 창건과 그 의도
    주보돈 [2017]
  • 百濟의 對中關係와 使臣路 -北朝 정권과의 교섭을 중심으로-
    조범환 [2020]
  • 新羅의 漢江流域 領域化 過程 硏究
    윤성호 [2018]
  • 新羅의 對外認識과 天下觀
    전덕재 [2004]
  • 新羅의 佛敎儀禮와 發達
    이만 [2010]
  • 新羅軍主考
    申瀅植 [1975]
  • 新羅眞興王巡狩碑硏究
    盧鏞弼 [1996]
  • 新羅眞興大王의 信佛과 그 思想硏究
    金煐泰 [1967]
  • 新羅時代의 國家佛敎와 儒敎
    李基白 [1978]
  • 新羅時代 巡守의 性格
    金瑛河 [1979]
  • 新羅 初期 佛敎史硏究
    辛鍾遠 [1992]
  • 新羅 倉庫制의 성립과 租稅 運送
    金昌錫 [2001]
  • 新羅 中古의 國王近侍集團
    李文基 [1983]
  • 新羅 中古期의 政治過程試論
    金瑛河 [1988]
  • 新羅 上州·下州의 이동 과정과 운영
    최범호 [2018]
  • 新羅 上代 太子制의 運營과 東宮의 設置
    조범환 [2010]
  • 宗敎と社會理論 : 古代宗敎の社會理想
    中村元 [1959]
  • 國原小京과 于勒
    梁起錫 [2006]
  • 加耶滅亡問題에 대한 一考察
    朱甫暾 [1982]
  • 佛說長阿含經
  • 仁王般若波羅蜜經
  • 九谷黃鍾東敎授停年紀念史學論叢
    朱甫暾 [1994]
  • 『삼국시대 불교신앙사 연구』
    김두진 [2016]
  • <昌寧眞興王拓境碑>와 신라의 영역 확장-大加耶 정복을 중심으로-
    장창은 [2012]
  • 6세기 신라에서의 왕권과 불교 간의 관계 ·
  • 6세기 신라에서의 아소카상징(Asokan Symbolism)의 수용과 그 의의