시설노인의 성별에 따른 상실감과 자아통합감, 삶의 만족도 분석

논문상세정보
' 시설노인의 성별에 따른 상실감과 자아통합감, 삶의 만족도 분석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Ego-Integrity
  • Gender
  • Key Words: Elderly in Residential Care
  • Life Satisfaction
  • Sense of Loss
  • 삶의 만족도
  • 상실감
  • 성별
  • 자아통합감
  • 핵심어: 시설노인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3,587 0

0.0%

' 시설노인의 성별에 따른 상실감과 자아통합감, 삶의 만족도 분석' 의 참고문헌

  • 한국노인 상실감 척도 구성 및 타당도 검증에 관한 연구
    정미경 [2009]
  • 한국 노인의 자아통합감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연구
    장성옥 [2007]
  • 상실 경험의 의미 재구성과 심리적 적응의 관계
    최선재 [2013]
  • 배우자 사별과 중・고령층의 소득수준: 성별영향분석을 중심으로
    김정근 [2014]
  • 노인장기요양보험통계 2018
  • 노인의 상실경험과 자아통합감 수준에 따른 적응군집화 및 집단판별에 기여하는 변인
    정미경 [2011]
  • 노인의 상실감, 응집감 및 우울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: 매개된 조절효과†
    오지희 [2017]
  • 남녀노인의 상실경험과 우울이 자아통합감과 초월에 미치는 영향
    안정신 [2016]
  • 남녀노인의 상실경험과 우울간의 관계: 스트레스 대처양식의 조절효과
    박규리 [2016]
  • 고령자의 상실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
    윤훈 [2007]
  • 고령자의 상실감과 자아통합감의 관계
    김후경 [2007]
  • “시설노인이 인지하는 사회자본이 삶의 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: 장애수용의 매개효과.”
    이현지 [2019]
  • “남녀노인의 우울, 삶의 만족에 대한 심리사회적 요인들 의 영향의 차이에 관한 연구”
    이인정 [2007]
  • “관련 변인을 중심으로 비교한 자아통합 척도 연구.”
    최현옥 [2014]
  • What do older women and men want? Gender differences n the ‘lived experience’ of aging
    Russell, C. [2007]
  •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
    Diener, E. [1985]
  • The relation of ego integrity and despair to personality traits and mental health
  • The moderator-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: Conceptual,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
  • Religious involvement, spirituality, and personal meaning for life : Existential predi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 community residing and institutional care elders
    Fry, P. S. [2000]
  • Quality of life and successful aging in long-term care : Perceptions of residents
    Guse, L. [1999]
  • Physical, psychological, and social environmental variables associated with self-reported disability in community residing elders
    Wilson, M. [2005]
  • Identity and the life cycle
  • Exploring positive and negarive affect as key indicators of life satisfaction among centenarians: Does cognitive performance matter?
  • A salutogenic analysis of developmental task and ego integrity vs despair
  • 2019 고령자 통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