딕토글로스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수업 연구

박정화 2020년
논문상세정보
' 딕토글로스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수업 연구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Interaction
  • Key Words: Dictogloss
  • Speaking Ability
  • Speaking Instruction Model
  • Teaching Method
  • 말하기 능력
  • 말하기 수업 모형
  • 상호작용
  • 수업방안
  • 핵심어: 딕토글로스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,748 0

0.0%

' 딕토글로스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수업 연구' 의 참고문헌

  • 한국어 교육에서 딕토글로스 교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
    백재파 [2017]
  • 한국어 교사의 말하기 평가 구인에 관한 인식 연구
    박정화 [2019]
  • 입력강화를 통한 한국어 문법 형태 습득 및 본문 이해 양상 연구 : 관형사형 어미를 중심으로
    정대현 [2008]
  • 보고서 쓰기와 발표하기를 통합한 한국어 고급단계의 프로젝트 수업 연 구 – 학문 목적의 학습자를 대상으로-
    김지영 [2007]
  • 말하기 교육에서 글쓰기의 효과와 연계방안
    황성근 [2009]
  • 딕토글로스가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연구
    윤해리 [2014]
  • 딕토글로스(Dictogloss)를 활용한 ‘듣기-쓰기’ 한국어 수업 방안 연구
    김지우 [2017]
  • 고급 수준 한국어 말하기 교재 분석
    박정화 [2020]
  • The Role of Input and Interaction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: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
    Gass, S. M. [1998]
  • Non-native/Non-native Conversation : A Model for Negotiation of Meaning
  • Grammar dictation
    Wajnryb, R. [1990]
  • Focus on form in classroom second language acquisition
    Long, M. [1998]
  • Combining Dictogloss and Cooperative Learning to Promote Language Learning
    Jacobs, G. [2003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