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he Age of Transition and Leap: Trends in Korean Craft Study (2000-2020)

신숙 2020년
논문상세정보
    • 저자 신숙
    • 제어번호 106885534
    • 학술지명 THE REVIEW OF KOREAN STUDIES
    • 권호사항 Vol. 23 No. 1 [ 2020 ]
    • 발행처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
    • 자료유형 학술저널
    • 수록면 297-333
    • 언어 English
    • 출판년도 2020
    • 등재정보 KCI등재
    • 소장기관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서울교육대학교 도서관 호서대학교(아산) 학술지원과
    • 판매처
    유사주제 논문( 0)

' The Age of Transition and Leap: Trends in Korean Craft Study (2000-2020)' 의 참고문헌

  • 「新羅墳墓 속 西域系文物의 現況과 解析」
    이한상 [2007]
  • 李成桂 發願 佛舍利莊嚴具의 硏究
    주경미 [2008]
  • 樂浪 貞柏洞 3호분과 37호분의 남방계 獅子形 垂飾과 商人의 활동
    이송란 [2005]
  • 金系 高麗鏡의 제작과 유통
    박진경 [2013]
  • 황남대총 출토직물 연구 -現 경주문화재 연구소 소장직물을 중심으로-
    장현주 [2012]
  • 황남대총 북분 피장자의 성별에 대한 새로운 접근
    김성태 [2016]
  • 황남대총 남분출토 ‘馬朗’명 칠기의 의미
    정일 [2018]
  • 한국 불교향로 연구
    이용진 [2011]
  • 한국 불교 퇴장 유물의 성격과 영국사(도봉서원) 출토품의 특징
    최응천 [2019]
  • 한국 공예의 미의식 節用의 수범과 大觀의 너른 품
    최공호 [2012]
  • 한국 공예사학의 장르관습과 위계구조
    최공호 [2007]
  • 한국 공예사 연구의 미학적 문제
    이인범 [2007]
  • 한국 고대 사리장엄 연구
    신대현 [2001]
  • 중국정병 연구
    안귀숙 [2001]
  • 중국 고대 불사리장엄 연구 : 위진남북조수당시대를 중심으로
    주경미 [2002]
  • 조선후기 철제입사공예품 연구
    이선진 [2015]
  • 조선후기 왕자녀의 ‘혼례용품’과 그 상징성에 관한 일고찰: 1749년 『국혼정례(國婚定例)』 이전 ‘가례등록(嘉禮謄錄)’을 중심으로
    김지영 [2017]
  • 조선후기 王室祭器 鑄成 鍮器匠 연구
    장경희 [2008]
  • 조선왕실의궤를 통한 장인 연구의 현황과 과제
    장경희 [2015]
  • 조선시대 입사장(入絲匠)의 역할과 작업범주의 재해석
    김세린 [2017]
  • 조선시대 궁중의례용 쌍용도상의 유형과 함의: 일승일강용一升一降龍 도상을 중심으로
    김주연 [2013]
  • 조선미술전람회 공예부의 개설 과정에 대한 고찰: 전람회를 통한 근대 공예 개념의 형성과 확산
  • 조선 후기 王室工藝史 硏究의 成果와 課題
    장경희 [2006]
  • 조선 전기 경공장의 기술 통제와 분업
    최공호 [2018]
  • 전통 공예기법의 단절과 계승: 평문과 평탈, 그리고 나전
    신숙 [2019]
  • 익산 미륵사지 석탑 사리공 내 출토 고대 유리 유물의 성분특성 분석
    한민수 [2017]
  • 왕흥사지 목탑과 미륵사지 석탑 사리장엄의 비교
    이한상 [2009]
  • 신라 계림로 14호분 <금제감장보검>의 제작지와 수용경로
    이송란 [2008]
  • 식이총 출토 금동식리의 문양 연구
    이연재 [2006]
  • 보요기법과 누금세공기법으로 본 신라 금공예의 수용 과정
    이송란 [2015]
  • 백제 왕흥사지 목탑지 출토 옥벽(玉璧)편 사리공양품의 원형복원 연구
    임승경 [2015]
  • 백제 미륵사지 석탑 사리공양품의 보석과 교역
    신숙 [2016]
  • 백제 미륵사지 서탑 유리제사리병과 고대 동아시아 유리 제작
    이송란 [2011]
  • 미륵사지 석탑 사리장엄구의 구성과 의의
    주경미 [2014]
  • 동전 연주문의 변천과정 비교연구
    안보연 [2007]
  • 금속공예 연구의 현황과 전망
    이영희 [2007]
  • 국보 제193호 봉수형유리병 금사의 특성과 제작기법 연구
    황현성 [2015]
  • 공예사 방법론의 성찰과 다문화적 상상력
    최공호 [2017]
  • 공예(工藝), 모던의 선택과 문명적 성찰: 용어 사용 이후의 위기와 어젠더
    최공호 [2011]
  • 고신라 금속공예품 연구 : 황남대총 장신구와 마구를 중심으로
    이송란 [2002]
  • 고려시대 타출 공예 연구
    김은애 [2007]
  • 고려시대 입사공예품의 장인과 기술
    김세린 [2019]
  • 고려시대 공예기법 연구-상호관련성을 중심으로
    이영희 [2004]
  • 고려시대 魚子文 금속공예품 연구
    임지윤 [2011]
  • 고구려 미술의 팔메트(palmette) 문양 고찰
    제송희 [2010]
  • 경주 황남대총 북분 주인공 성격 재고
    이주헌 [2015]
  • 건칠공예에 대한 재고(再考) - 창원 강창규부터 영국박물관 한국 컬렉션까지
  • 감은사지동탑 사리용기 양식에 반영된 복두형 천장에 대하여
    이난영 [2000]
  • 감은사지 동 삼층석탑 寶帳形舍利器 復元再考
    한정호 [2010]
  • 高麗時代梵鍾의 發願階層과 鑄鍾匠人
    이광배 [2012]
  • 高麗時代 禁制와 工匠制를 통해 본 金屬象嵌技法의 양상
    김세린 [2013]
  • 韓國 近代期 梵鍾의 樣式的 特徵과 製作技法 硏究
    원보현 [2014]
  • 韓國 古代 金屬 工藝 연구
    李蘭暎 [1991]
  • 隋唐代 聯珠環文錦의 東西交涉
    장경희 [2007]
  • 金奉龍의 나전기술과 근대 공예적 성취
    최공호 [2017]
  • 軍威 麟角寺 출토 佛敎 金屬工藝品의 性格과 意義
    최응천 [2010]
  • 百濟金屬工藝의 印刻技法과 魚子文 考察
    이귀영 [2010]
  • 百濟 王興寺址 出土 舍利莊嚴具와 6세기 동아시아 불교문화
    주경미 [2018]
  • 發願者 階層을 통해 본 朝鮮前期 梵鍾의 樣式
    이광배 [2009]
  • 朝鮮王朝 王室嘉禮用 工藝品 硏究
    張慶姬 [1999]
  • 朝鮮時代 梵鍾의 銘文分析과 梵鍾 佛事의 所任
    정문석 [2014]
  • 朝鮮後期~20世紀 初 華角工藝品의 鳳凰紋 硏究
    홍선아 [2016]
  • 朝鮮 王室 古銅器形 香爐 硏究
  • 日本에 있는 韓國 梵鐘의 종합적 고찰
    최응천 [2007]
  • 新羅冠의 成立과 始祖廟 祭祀
    李松蘭 [2002]
  • 新羅 舍利莊嚴方式의 형성과 변천
    주경미 [2014]
  • 扶餘 王興寺址 木塔址 발견 舍利莊嚴의 양식과 역사적 의미
    신대현 [2008]
  • 慶州 九皇洞 三層石塔 舍利莊嚴具의 再照明
    韓政鎬 [2006]
  • 崔天若이 제작·감독한 조선 왕실 御寶 연구
    제지현 [2019]
  • 古新羅 金屬工藝의 鏤金細工技法 硏究
    李榮姬 [1998]
  • 南北朝時代 北朝 고분 출토 西方係 琉璃器 - 신라 고분 출토 서방계 유리기의 수용경로와 관련하여 -
    이송란 [2016]
  • 三國・古墳時代 金工品의 生産과 流通 — 韓日古墳 出土 龍文透彫帶裝飾具를 중심으로
    김도영 [2019]
  • 「한국 근대공예사 연구: 제도와 이념」
    최공호 [2001]
  • 「신라 마립간기 왕릉의 새로운 성과와 해석」
    김대환 [2017]
  • 「고려시대 월정사 석탑 출토 사리장엄구 再論」
    주경미 [2011]
  • 「統一新羅와 唐의 銜鳥文 硏究」
    신 숙 [2010]
  • ‘조선나전사(朝鮮之螺鈿社)’와 한국 근대 나전칠기
  • Tradition and Interpretation of Visual culture: Festschrift of Art History in Honor of Professor Kim Lena
  • Tradition and Interpretation of Visual Culture: Festschrift of Art History in Honor of Professor Kim Lena
  • The Origin of Lacquerwork Inlaid with Mother-of-Pearl
  • The Lineage and Meaning of Buddhist Elements in Silla Tomb Burials—Focusing on the Hwangnamdaechong and Singnichong Tombs
  • The Golden Silla
  • The Golden Culture of Kazahstan’s Plains
    Shin, Suk [2018]
  • Study on the Patterns and Production Techniques of Goryeo Najeon-chilgi
  • Study on the Buddhist Bells Sponsored by the Royal Family in the Early Joseon Dynasty
    Nam, Jin-ah [2007]
  • Study on Reliquaries from the Goryeo Dyansty
  • Study of Pyeongtal Artefacts in the Unified
    Shin, Suk [2004]
  • Silla : Golden Country
  • Significance of Sarira Reliquaries of the Stone Pagoda in the Mireuksa Temple Site
  • Sarira Reliquary of the East Three-story Stone Pagodas at Gameunsa Temple Site
  • Reinterpretation of Sarira Reliquaries from the Wangheungsa Temple Site and the Mireuksa Temple Site
    Han, Song-i [2015]
  • Reconsideration of the Production Period for Sarira Reliquaries from the 5-Story Stone Pagoda at the Wanggungri in Iksan City
  • Origin and Development of the Filigree Technique in Ancient China
  • New Interpretations on the Artifacts from the Wooden Pagoda at the Wangheungsa Temple in Buyeo County
  • Korean Art and Craft
  • History of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in Korean Craft
  • Gold of the Elite of Kazakh Steppes
  • Gemstone Decorated Artifacts in Ancient Korea and the International Trade
    Shin, Suk [2016]
  • Eojamun Technique
  • Crafting Technique and Pattern of Gold Sarira Reliquary from the Mireuksa Temple Site
  • Crafting Process and Production Location of a Jade-inlaid Bracelet from the North Mound of the Hwangnamdaechong Tomb
  • Construction Period and Characteristics of the Buried Person in the Gyerim-ro Tomb No.14
  • Comprehensive Investigation Report : Sacred Bell of King Seongdeok
  • Buddhist Sarira Belief and Sarira Reliquaries
  • Buddhist Bells of Korea
  • At the Crossroads of Industry and Art
  • Anthology for Woohyun Go Yoo-seob’s Works
  • Achievements and Problems of Researching Korean Bell—Origin and Accomplishment of Typical Style, Heyday and Decline of a Century
  • A Study on the Repousse Technique of the Three Kingdoms Period
  • A Study on the Interior Decoration and Ritual Artifacts of Joseon Dynasty Jinjeon
  • A Study on the Filigree Technique of Metal Crafts
  • A Study on Ok-Chaek Nae-Ham of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
    Kim, Mira. [2016]
  • A Study on Najeonchilgi in the Goryeo Dynasty Period
  • A Study on Metal Crafts of the Silla Dynasty
  • A Study on Lamaist Pagodas’ Buddhist Reliquaries in the Late Goryeo Dynasty
  • A Study on Korean Sarira Shrine(Bojang 寶藏)
  • A Study on East-West Exchange Through Neunghwamun Pattern
    Kim, Lena [2004]
  • A Study of the Iconography and Symbolism of Baekje Gilt-bronze Incense Burner
  • 30 Years of Korean Craft Study : Metal Crafts
  • 21세기 한국의 중앙유라시아 미술사 연구
    임영애 [2015]
  • 1705년 금보개조도감(金寶改造都監) 제작 금보 연구
    제지현 [2017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