점포겸용 거주자의 주거 및 커뮤니티 만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

논문상세정보
    • 저자 손희주 장부훈 최열
    • 제어번호 106847974
    • 학술지명 부동산분석
    • 권호사항 Vol. 6 No. 1 [ 2020 ]
    • 발행처 한국부동산원
    • 자료유형 학술저널
    • 수록면 57-80
    • 언어 Korean
    • 출판년도 2020
    • 등재정보 KCI등재
    • 소장기관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
    • 판매처
    유사주제 논문( 0)

' 점포겸용 거주자의 주거 및 커뮤니티 만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' 의 참고문헌

  • 휴먼 브랜드에 대한 강한 애착의 선행 요인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
    김정구 [2010]
  • 한국인의 지역공동생활과주관적 안녕감
    이종한 [1997]
  • 판교택지개발지구 원주민재정착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
    임미화 [2007]
  • 택지개발지구내 점포겸용단독주택의 지구단위계획에 관한 연구 - 건축물의 규모와 허용용도를 중심으로 -
    김영인 [2009]
  • 택지개발사업지구내 단독주택지의 개발실태와 거주환경평 : 진주시의 사례를 중심으로
    안재락 [2000]
  • 택지개발사업의 평가와 개선방안
    배순석 [1997]
  • 택지개발 지구 내 소규모 점포주택의 사업성 분석
    최용규 [2013]
  • 지역주민에 대한 카지노 출입제한방안에 관한 연구
    이충기 [2001]
  • 지역사회 애착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: 경기도 의정부 지역을 중심으로
    장정순 [2015]
  • 주택유형별 주거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: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
    오수철 [2015]
  • 주거이동특성이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: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
    김병석 [2018]
  • 주거공동체에 대한 애착과 신뢰의 영향요인 분석 - 친밀권역(intimacy zone)의 회복을 위한 시각 -
    이종수 [2015]
  • 점포주택지의 특성을 고려한 주거환경개선에 관한 연구
    김두기 [2012]
  • 점포주택의 가격 형성 요인에 관한 연구 : 삼송 ․ 별내 택지개발지구를 중심으로
    장성일 [2016]
  • 점포주택 투자의향에 미치는 요인 분석
    정은주 [2018]
  • 점포주택 입면디자인 요소별 선호도 및 구매결정에 미치는 영향 분석
    임영준 [2017]
  • 점포주택 거주자의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
    서은영 [2019]
  • 점포주택 거주자의 이용만족도에 관한 연구 : 고양삼송지구와 파주운정신도시를 중심으로
    서은영 [2018]
  • 장소애착 인지 및 결정요인 분석
    최열 [2005]
  • 애착이론과 임상사회사업
    이삼연 [2000]
  • 아파트 거주자의 변인에 따른 주거환경 만족도의 차이에 대한 연구
    하규수 [2010]
  • 슬로시티 지역주민의 애착도와 공동체의식이 태도에 미치는 영향
    예상권 [2011]
  • 세장형 필지의 특성을 고려한 주거유형에 관한 연구 : 인천 중구 조계지 점포겸용주택 유형 제안을 중심으로
    박초롱 [2013]
  • 생활권의 주거의 질이 정주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연구 - 대전시를 사례로 -
    박해옥 [2014]
  • 마을공동체 복원을 통한 주민자치 실현방안
    김찬동 [2012]
  • 도시형 생활주택의 공간유형별 거주환경 인식평가 분석 - 부산광역시 지역을 중심으로 -
    김상섭 [2015]
  • 도시지역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: 대도시와 중소도시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
    박정기 [2018]
  • 단독주택용지의 이용실태와 효율적 이용방안 : 전주시 공영택지개발지구를 중심으로
    박인선 [2006]
  • 단독주택과 아파트 거주자의 주거만족도 및 영향요인 비교 연구- 대전광역시를 대상으로 -
    심준영 [2014]
  • 농촌 지역 주민의 공동체 의식에 관한 연구
    성희자 [2006]
  • 노후택지개발지구 내 점포겸용주택지의 문제점 및 재활성화 방안 연구 : 경기도 고양시화정지구 중심으로
    민정원 [2019]
  • 기성시가지 단독주택지의 주거환경 만족도와 거주이동 요인에 관한 연구
    임준홍 [2003]
  • 공동주택관리의식에 관한 연구 : 거주자와 관리자를 중심으로
    박지연 [2008]
  • 공공택지 내 점포주택 거주자 만족도 및 중요도 분석 : 위혜신도시 및 청라국제도시를 중심으로
    김재종 [2018]
  • 觀光地 地域住民의 地域社會 愛着度 測定尺度 開發
    강신겸 [2002]
  • “다가구 매입 임대주택의 주거 만족도 변화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-대구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-”
    박덕수 [2014]
  • Understanding social capital in recently restructured urban neighbourhoods: Two case studies in rotterdam
  • The measurement of place attachment : Personal, community, and environmental connections
  • The city and self-identity
  • Rural community satisfaction and attachment in mass consumer society
  • Rootedness versus sense of place citation
    Tuan, Y. F. [1980]
  • Possessions and the extended self
    Belk, R. W. [1988]
  • Place attachment : Conceptual and empirical questions
  • Place Attachment
    Altman, I. [1992]
  • Philosophy, thought experiments and large context problems in the secondary school physics course
    Stinner, A. [1990]
  • Neighborhood attachment and its correlates : Exploring neighborhood conditions, collective efficacy, and gardening
  • Local friendship ties and community attachment in mass society : A multi level systemic model
  • Interaction pretext: Experiences of community in the urban neighbourhood
  • Interaction pretext: Experiences of community in the urban neighbourhood
  • Humanistic geography
    Tuan, Y. F. [1976]
  • Fans: Exploring expressed motivations for contacting celebrities
    Leets, L. [1995]
  • Exploring th e heterogeneity of rural landscape preferences : An image-based latent class approach
  • Dimensions of community attachment and their relationship to well-being in the amenity-rich rural west
  • Definition of community : Areas of agreement
  • Community attachment in mass society
  • Community attachment and attitudes toward tourism development
  • Attachment and Loss : Attachment
    Bowlby, J. [1969]
  • Attachment Theory and Close Relationships
  • A Transactional View of Settings
    Stokols, N. [1981]
  • "공동주택 단지의 공동체의식과 외부 공간구성"
    이라영 [2009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