인공지능과 윤리 -법철학의 관점에서-

양천수 2020년
논문상세정보
    • 저자 양천수
    • 제어번호 106845554
    • 학술지명 法學論叢
    • 권호사항 Vol. 27 No. 1 [ 2020 ]
    • 발행처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
    • 발행처 URL http://www.chosun.ac.kr/law/
    • 자료유형 학술저널
    • 수록면 73-114
    • 언어 Korean
    • 출판년도 2020
    • 등재정보 KCI등재
    • 소장기관 이화여자대학교 중앙도서관
    • 판매처
    유사주제 논문( 0)

' 인공지능과 윤리 -법철학의 관점에서-' 의 참고문헌

  • 형법체계의 신형상 : 목적적 행위론 입문
    H. Welzel [1957]
  • 형법정책의 토대로서 자유주의적 후견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: 드워킨(Gerald Dworkin)과 파인버그(Joel Feinberg)의 논의를 중심으로
    권지혜 [2016]
  • 현대 지능정보사회와 인격성의 확장
    양천수 [2018]
  • 트롤리 문제와 다원론적 규범 윤리 이론
    정진규 [2016]
  • 체계이론 입문
  • 지능정보사회에서 법과 윤리
  • 지능정보사회에서 법과 윤리
    정채연 [2019]
  • 지능정보사회 윤리 가이드라인
  • 종교에 대하여
    서병훈 [2018]
  • 존 피니스의 법사상 연구 : 혼인과 성의 형이상학과 동성혼 금지를 중심으로
    오민용 [2018]
  • 제4차 산업혁명과 법
    양천수 [2017]
  • 정의란 무엇인가
  • 자율주행자동차의 윤리화의 과제와 전망
    이상돈 [2017]
  • 자율주행자동차의 윤리적 선택에 따른 교통사고비용 분석
    정승원 [2018]
  • 자율주행자동차의 윤리적 가이드라인에 대한 시론
    변순용 [2017]
  • 자율주행자동차와 로봇윤리: 그 법적 시사점
    이중기 [2016]
  • 자율주행자동차에 대한 한국형 윤리 가이드라인 연구
    변순용 [2018]
  • 자유주의적 생명윤리에 대한 비판과 공동체주의 접근법 고찰
    유수정 [2016]
  • 자유주의적 공동체주의의 가능성 ―마이클 샌델의 정치철학을 중심으로 하여―
    양천수 [2014]
  • 인공지능의 윤리학
    이중원 [2019]
  • 인공지능에게 책임을 부과할 수 있는가?: 책무성 중심의 인공지능 윤리 모색
    이중원 [2019]
  • 인공지능시대 법제 대응과 사회적 수용성
    조성은 [2018]
  • 인공지능과 법체계의 변화 ―형사사법을 예로 하여―
    양천수 [2017]
  • 인공지능과 법
  • 인공지능 윤리 가이드라인: 일본과 EU 사례를 중심으로
    한지영 [2019]
  • 인공지능 시대에 적합한 인격 개념 - 인정에 근거한 모델을 중심으로 -
    목광수 [2017]
  • 의료행위의 법제화와 형법 : 의료분쟁조정법안의 기본구상에 대한 법사회학적 비판
    이상돈 [1997]
  • 윤리형이상학 정초
    백종현 [2005]
  • 윤리적 AI로봇 프로젝트
    변순용 [2019]
  • 원칙에 의한 형벌규범의 정당화 그리고 법익개념
  • 왜 로봇의 도덕인가
  • 아리스토텔레스의 질료 · 형상설에 대한 심신 가치론적 고찰
    손병석 [2006]
  •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 기술의 소개
    정승준 [2019]
  • 서브프라임 금융위기와 법
    양천수 [2011]
  • 보장행정의 작용형식으로서 규제 ― 보장국가의 구상과 규제의미의 한정 ―
    계인국 [2013]
  • 보장국가 구현을 위한 법적ㆍ정책적 연구
    김남진 [2016]
  • 법치국가와 인간의 존엄
  • 법철학자의 관점에서 바라본 비교법 방법론: ‘비교되는 법’의 중층성 및 복합성과 관련하여
    김도균 [2006]
  • 법의 근대성과 탈근대성 - 하버마스와 투렌의 기획을 중심으로 하여 -
    양천수 [2009]
  • 법과 논증이론
  • 법 수사학
    김성룡 [2012]
  • 법 수사학
    김성룡 [2010]
  • 범죄와 형벌 : 올바른 형법을 위한 변론
  • 밀의 자유론과 해악의 원리
    오병선 [2006]
  • 로봇윤리헌장의 필요성과 내용에 대한 연구
    변순용 [2017]
  • 로봇윤리 vs. 로봇법학: 따로 또 같이
    김건우 [2017]
  • 도덕직관에 관한 덕윤리적 해명 가능성 - 트롤리 딜레마의 경우 -
    이주석 [2017]
  • 덕 윤리에서 습관의 중요성과 노직의 경험기계를 통한 옹호
    장동익 [2017]
  • 대화이론과 법
    K. Günther [2002]
  • 담론윤리의 해명
  • 기업의 경제활동에 관한 형사법제 연구(II) : 기업의 사회적 책임(CSR)과 법준수프로그램(CP)에 관한 연구
    양천수 [2010]
  • 기본권이론
    이준일 [2007]
  • 규제의 역설
    신도철 [2006]
  • 공학윤리
    양해림 [2018]
  • 개념법학:형성, 철학적 정치적 기초, 영향
    양천수 [2007]
  • 文化와 法體系 그리고 比較法學―民法上 去來安全義務를 例로 하여―
    양천수 [2007]
  • 『인공지능과 딥러닝: 인공지능이 불러올 산업구조의 변 화와 혁신』
  • Über Sinn und Unsinn von Statusfragen – zu Vor- und Nachteilen der Einführung einer elektronischen Person
    S. Beck [2013]
  • [단행본] (기술이 인간을 초월하는 순간)특이점이 온다
  • Verrechtlichung von Wirtschaft, Arbeit und sozialer Solidarität
    G. Teubner [1984]
  • Towards a Code of Ethics for Artificial Intelligence
  • Prozedurales Recht
  • Prozedurale Rationalität. Moderne Rechtsentwicklung jenseits von formaler Rationalisierung
    K. Eder [1986]
  • Neue Theorien des Rechts
  • Metaphysik der Sitten
    I. Kant [1797]
  • Liberalism and the Limits of Justice
    M. Sandel [1998]
  • Legitimation durch Verfahren
    N. Luhmann [1969]
  • Jenseits von Mensch und Maschine. Ethische und rechtliche Fragen zum Umgang mit Robotern, Künstlicher Intelligenz und Cyborgs
  • Interessenjurisprudenz
  • Der Zweck im Recht, Bd. I-II
  • Cambridge Handbook of Artificial Intelligence
  • 4차산업혁명시대 산업별 인공지능 윤리의 이슈 분석 및 정책적 대응방안 연구
    이원태 [2018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