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 근대 무용담론 형성 연구

김호연 2020년
논문상세정보
    • 저자 김호연
    • 제어번호 106844016
    • 학술지명 인문사회 21
    • 권호사항 Vol. 11 No. 2 [ 2020 ]
    • 발행처 인문사회 21
    • 자료유형 학술저널
    • 수록면 1833-1848
    • 언어 Korean
    • 출판년도 2020
    • 등재정보 KCI등재
    • 판매처
    유사주제 논문( 0)

' 한국 근대 무용담론 형성 연구' 의 참고문헌

  • 현대무용
  • 한국현대문화사대계, 1
    조동화 [1975]
  • 한국사데이터베이스
  • 처용무
  • 처용고에 대하여
  • 조선음악의 연구
    안확 [2008]
  • 조선연극사
    김재철 [1933]
  • 조선무용의 특이성
  • 조선무용의 사적 개관: 우리 무용의 재인식
  • 조선무용 진흥론
  • 임화 신문학사
    임화 [1993]
  • 일제강점 말기 무용 활동과 그 변화 양상 : 무용의 관제화 경향을 중심으로
    김호연 [2015]
  • 식민지조선의 신무용과 근대적 예술 개념의 수용
    이진아 [2016]
  • 석남 송석하 한국 민속의 재음미 상
  • 봉산 민속무용고-연극학 급 무용 계통상으로
  • 민족⋅민족주의
    박찬승 [2016]
  • 민속예술의 소개에 대하여 김포 농민무용 동경파견을 계기로
  • 무용예술의 소감, 특히 무용의 본질에 대하여
  • 무용과 생활-춤추는 것은 생활의 표현
  • 다시 처용전설과 동경에 취하여-김재철의 박론에 답함
  • 국민무용의 새출발 아동의 정조교육이 특정 : 강습회를 앞두고
  • 演劇統制の諸問題
  • 新樂劇論
  • ‘무용(舞踊)’, ‘신무용(新舞踊)’ 용어의 수용과 정착: <매일신보>, <동아일보>, <조선일보> 기사를 중심으로
    이종숙 [2017]
  • 20세기 전반 한국의 춤 문화와 비평
    박자은 [2010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