근대전환기 서구 근대 식물학의 도입과 확산의 토대 구축

윤정란 2020년
논문상세정보
    • 저자 윤정란
    • 제어번호 106843745
    • 학술지명 한국민족운동사연구
    • 권호사항 Vol. 0 No. 102 [ 2020 ]
    • 발행처 한국민족운동사학회
    • 자료유형 학술저널
    • 수록면 215-251
    • 언어 Korean
    • 출판년도 2020
    • 등재정보 KCI등재
    • 판매처
    유사주제 논문( 0)

' 근대전환기 서구 근대 식물학의 도입과 확산의 토대 구축' 의 참고문헌

  • 한역 근대 과학기술서와 대한제국의 과학 : 근대 과학으로의 여정
    김연희 [2019]
  • 한국기독교와 역사 Ⅰ
  • 한국기독교박물관 자료를 통해 본 근대의 수용과 변용
    전영주 [2019]
  • 한국 전통춤의 근대적 메타모포시스 연구: 극장을 중심으로
    김호연 [2019]
  • 한국 근대에 대한 논쟁의 역사와 변화
    윤정란 [2019]
  • 한국 근대과학 형성사
    김연희 [2016]
  • 통감부 설치와 한국 식민지화-한국독립운동의 역사 3
    한명근 [2009]
  • 최근세 한국식물학 연구사–일제 통치하 한국에 있어서의 식물학 연구에 관한 시설과 그 실태
    이덕봉 [1961]
  • 일제하 한국기독교 농촌운동 : 1925-1937
    한규무 [1997]
  • 의진사(義進社)의 출판활동과 출판-교육 네트워크
    권두연 [2017]
  • 위생문답
    박상락 [1907]
  • 위대한 박물학자
  • 신찬소박물학
    유성준 [1907]
  • 신을 위한 변론: 우리가 잃어버린 종교의 참 의미를 찾아서
  • 식민지 조선의 식물연구(1910-1945) : 조일 연구자의 상호 작용을 통한 상이한 근대 식물학의 형성
    이 정 [2013]
  • 식물학
    유해영 [1909]
  • 식물도셜
  • 숭실대학교 90년사
  • 숭실대학교 100년사: ① 평양숭실편
  • 수학자 이상설이 소개한 근대자연과학: <植物學>
    박영민 [2011]
  • 서유견문
    허경진 [2004]
  • 민족과 함께 한 숭실 120년
  • 들풀에서 줍는 과학
    김준민 [2006]
  • 근세식물학교과서
  • 근대 초기 잡지와 분과학문의 형성
    구장률 [2012]
  • 근대 중국의 서양서 번역․보급과 한국 근대 학문에 미친 영향 연구
    허재영 [2017]
  • 근대 역사 교과서. 4, 초등대한역사·초등대한력사·초등본국역사
    강영심 [2011]
  • 교육운동-한국독립운동의 역사 35
    김형목 [2009]
  • 개화기 한국의 과학교과서
    박종석 [2007]
  • エドワ-ド ストラスブルガ 植物學
  • 『조선식물향명집』 “사정 요지”를 통해 본 식물명의 유래
    조민제 [2018]
  • [단행본] 내한 선교사 총람, 1884-1984
    김승태 [1994]
  • Inside Views of Mission Life(1913): 개화기 조선 선교사의 삶
    오지석 [2019]
  • Botany for young people: How plants grow
    Asa Gray [1858]
  • 1910년대 일제의 무단통치-한국독립운동의 역사 4
    서민교 [2009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