『논어』의 ‘학(學)’ 개념 연구와 교육적 시사점 고찰- 2000년 이후 중국학계의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-

논문상세정보

' 『논어』의 ‘학(學)’ 개념 연구와 교육적 시사점 고찰- 2000년 이후 중국학계의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-' 의 참고문헌

  • 論語集註
  • 현대 중국의 유학연구 동향과 전망 - 유교부흥운동과 문화보수주의를 중심으로
    원영호 [2012]
  • 최근 한국 학계의 유교 연구 동향과 유교 윤리의 현실적 의미
    이철승 [2007]
  • 존 듀이 교육학의 원류를 찾아서 : 「나의 교육 신조」 독해
    신창호 [2018]
  • 전통적 學 개념과 퇴·율 성학의 이학-심학 연관 구조
    정도원 [2010]
  • 율곡의 학문 수련 단계와 리더십의 의미 - 『격몽요결』과 『성학집요』의 개인 성찰과 공동체 배려를 중심으로
    신창호 [2019]
  • 유학의 배움 개념, ‘본받음’ : 도학의 범주에서 이루어진 탐구
    박청미 [2014]
  • 동양의 교육전통에서 ‘배움’의 의미 : 원시유학의 논의를 중심으로
    신창호 [2007]
  • 덕(德)의 미메시스: 플라톤의 시(詩) 개혁
    송유레 [2014]
  • 대교수학
  • 논어집주상설
    박문호 [2019]
  • 공자의 학문관
    최정묵 [2015]
  • 공자의 교학사상 탐구
    정원호 [2017]
  • 공자의 교육사상에 나타난 ‘배움(學)’과 ’사고(思)’의 관 계에 대한 고찰
    심승환 [2010]
  • 釋『論語』之‘學’
    謝輝凡 [2012]
  • 釋『論語』之‘學’
    張 傑 [2008]
  • 論語集解義疏
  • 論敎育中的敎與學的關系
    韋春林 [2014]
  • 論“學而時習”對孔子哲學的奠基意義 : 對『論語』首章的嘗試性解讀
    郭美華 [2009]
  • 說文解字段注
  • 試論課堂敎學的本質
    馬艾斯 [2010]
  • 自我超越的‘學爲君子’之道 : 『論語』“學而時習之”章析義
    趙淸文 [2014]
  • 略論孟子對我國早期敎育形態的概述 : “五敎”說評議
    陳桂生 [2011]
  • 爲學三情:『論語』中‘學’的情感體驗探析
    曾海軍 [2009]
  • 淺析儒家文化中‘學’與‘敎’的思想 : 以『論語』爲例
    于文斌 [2019]
  • 朱子와 茶山의 <논어> 學개념 해석비교
    임헌규 [2015]
  • 從『論語』之‘學’談高校思想政治敎育
    高京平 [2014]
  • 從『論語』中的‘敎’‘學’看孔子形象定位
    周海春 [2009]
  • 學不可以已 : 『荀子』思想硏究
    沈雲波 [2008]
  • 孔子의 敎學思想
    이재권 [2006]
  • 孔子論‘學’中的文化育人觀念
    宋麗萍 [2012]
  • 孔子論‘好學’
    鄧 莉 [2011]
  • 孔子敎育思想中‘學’的觀念
    石夢嬌 [2013]
  • 孔子對顏回的“偏愛” : 從‘學’的角度看
    林澤楷 [2017]
  • 孔子對學思概念的型構及其敎育方法論意義
    黃曉珠 [2017]
  • 孔子学说中的“学”
    廖申白 [2016]
  • 孔子倫理思想發微 : 現代生活語境中的『論語』解讀
    王世明 [2004]
  • 孔子之‘學’思想探微
    趙子賢 [2016]
  • 孔子『論語』中‘學’的內涵
    姜海軍 [2008]
  • 孔子‘學’思想的研究
    苗 磊 [2009]
  • 周代의 明堂과 辟雍에 대한 小考
    서정화 [2016]
  • 先秦儒家‘學’之研究
    張基强 [2016]
  • 中華優秀傳統的啟蒙敎學理念
    張利平 [2019]
  • 一個關於傳統注解問題的討論: 以『論語』“學而時習之”章的分析爲例
    吳元豐 [2012]
  • 『論語』的哲學詮釋 : 比較哲學的視域
    安樂哲 [2003]
  • 『論語』
  • 『논어』에서 學의 의미
    임헌규 [2015]
  • 『논어』에 나타난 배움[學]에 관한
    이정애 [2016]
  • 『論語集注』中‘學’字釋義解析
    周元俠 [2013]
  • 『論語』首章‘學’字新解
    秦 娟 [2012]
  • 『論語』開篇“學而時習之”證解
    趙志浩 [2019]
  • 『論語』孔子‘學’之內涵
    林元彪 [2015]
  • 『論語』之‘學’探析
    劉 寒 [2016]
  • 『論語』之‘學’: 作爲一種可能的道德生活
    楊永利 [2014]
  • 『論語』中的‘學’與好學
    陳 晨 [2017]
  • 『論語』中的‘學’‘習’觀
    湯 洪 [2016]
  • 『論語』中‘學’的思想及其現代意義
    李薇薇 [2008]
  • 『論語』中‘學’的地位初探
    盧 偉 [2011]
  • 『論語』中‘學’之思想淺述
    李 釗 [2010]
  • 『論語』“學而”章探微
    王 晶 [2017]
  • 『論語』‘學’的哲思
    周海春 [2008]
  • 『論語』‘學’的倫理思考
    楊永利 [2014]
  • 『論語』‘學’字解析
    劉漢林 [2015]
  • 『論語』‘學’字解
    陸信禮 [2009]
  • 『說文解字』
  • 『荀子』
  • 『禮記』
  • 『白虎通』
  • 『書經』
  • 『大學章句』
  • 『周易』
  • “學而時習之”與《論語》的開端
    陳 贇 [2012]
  • ‘교육(敎育)’과 ‘학(學)’의 근원에 관한 탐구- 문자적 의미와 현대 교육학적 독해 -
    신창호 [2006]
  • ‘學’與君子人格的形成
    李申淼 [2016]
  • ‘學’在『論語』範疇體系中的邏輯地位 : 論孔子的‘學’之哲學倫理學
    周海春 [2006]
  • ‘學’作爲道德生活何以可能 : 『論語』‘學’論 : 『中庸』
    楊永利 [2014]
  • ‘學’之‘覺’義探微 : “學而時習之”之‘學’義旨辨略
    陳洪杏 [2016]
  • ‘學’‘習’之“說”的道體意蘊及其當代啟示
    白立強 [2019]
  • ‘儒學’是‘學’散論
    蔣國保 [2009]
  • <논어>에 보이는 공자의 학문관
    김인규 [2016]
  • '학(學)'과 공자 인학(仁學)
    이경무 [2007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