淸代의 학문 특징과 탄허의 원융론적 가치 − 탄허 원융론의 시대 배경과 정립 과정을 중심으로 −

염중섭 2020년
논문상세정보
    • 저자 염중섭
    • 제어번호 106593481
    • 학술지명 韓國佛敎學
    • 권호사항 Vol. 93 No. - [ 2020 ]
    • 발행처 한국불교학회
    • 발행처 URL http://ikabs.org
    • 자료유형 학술저널
    • 수록면 1-28
    • 언어 Korean
    • 출판년도 2020
    • 등재정보 KCI등재
    • 소장기관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
    • 판매처
    유사주제 논문( 0)

' 淸代의 학문 특징과 탄허의 원융론적 가치 − 탄허 원융론의 시대 배경과 정립 과정을 중심으로 −' 의 참고문헌

  • 한암漢岩과 탄허呑虛의 승가僧伽 교육 방향과 실천양상
    염중섭 [2019]
  • 한국 신종교에 있어서 후천개벽과 역(易)의 상관성
    임병학 [2013]
  • 탄허스님의 미래인식과 현대사회의 다양성
    염중섭 [2013]
  • 탄허선사의 말세관과 미래학 - 불교·유교·기독교의 말세론과『 정역』 해설을 중심으로
    권기완 [2017]
  • 청대 유학의 전개 양상
    유흔우 [2005]
  • 증산교의 미륵신앙 수용과 전개과정
    김남희 [2011]
  • 일제 식민권력의 기록으로 본 보천교의 민족주의적 성격
    김철수 [2016]
  • 연개소문의 집권과 고구려의 대외정책 변동
    방용철 [2015]
  • 수운 최제우의 신관: 서학의 영향을 중심으로
    박정호 [2018]
  • 불교의 人性論과 中國繪畵藝術
    염중섭 [2016]
  • 불교 숫자의 상징성 고찰 ― ‘4’와 ‘7’을 중심으로 ―
    염중섭 [2009]
  • 부처님이 계신다면
    呑虛 [2005]
  • 묵자의 「천지(天志)」, 「명귀(明鬼)」 및 「비명(非命)」편 분석을 통한 천인(天人)관계 고찰
    황성규 [2017]
  • 韓國의 宗敎, ⽂化로 읽는다3 −甑山敎·圓佛敎
    崔俊植 [2004]
  • 韓國佛敎近代史
    ⾦敬執 [2000]
  • 華嚴性起思想史 硏究 : 中國華嚴宗을 中心으로
    鄭舜日 [1989]
  • 白湖 尹鑴에 대한 斯⽂亂賊說 검토
    이선아 [1998]
  • 王陽明 心學의 硏究 : 心卽理의 淵源과 致良知를 中心으로
    宋在雲 [1985]
  • 漢巖 重遠과 呑虛 宅成의 佛緣. - 呑虛의 出家 背景 -
    이원석 [2016]
  • 漢代 「罷黜百家,獨尊儒術」 札記
    박성진 [2004]
  • 漢 武帝 「獨尊儒術」 再論 ― 《鹽鐵論》을 중심으로 ―
    박성진 [2013]
  • 淸代哲學史
    劉明鍾 [1995]
  • 海東華嚴의 뿌리와 흐름
    김지견 [1986]
  • 水雲 崔濟愚의 出自와 東學 創道의 基底
    박성주 [2008]
  • 水雲 崔濟愚 死亡 150주기 −崔濟愚의 東學과 開闢의 꿈
    김용휘 [2014]
  • 正易과 一夫
    李正浩 [1985]
  • 正易
  • 東洋史槪論
    申採湜 [2004]
  • 東學과 ⻄學; 19세기 후반 ⻄學과 東學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
    조광 [2003]
  • 朱子, 退溪와 佛道思想
    陳啓智 [1993]
  • 朝鮮佛敎
    ⾼橋亨 [1929]
  • 日帝의 侵掠과 佛敎, in 日帝의 韓國侵掠과 宗敎
    최병헌 [2001]
  • 新華嚴經合論1
    呑虛 [2011]
  • 新羅 義湘의 華嚴敎學 硏究 : 一乘法界圖의 性起思想을 중심으로
    全好蓮 [1990]
  • 房山窟의 無影樹-下
    月精寺 [2013]
  • 彼岸으로 이끄는 獅子吼
    呑虛 [2000]
  • 實學의 유교사적 맥락과 유교 연구 탐색
    이봉규 [2015]
  • 實學의 개념과 학술사적ㆍ현재적 의의
    이헌창 [2018]
  • 實學은 하나인가, 여럿인가, 아니면 애초에 없었던 것인가 - ‘미래 실학’을 위한 방향 모색
    김상준 [2016]
  • 宗鏡錄, T48
  • 太玄經
    揚雄 [2006]
  • 呑虛의 傳統學術 修學과 求道入山의 軌迹
    이원석 [2013]
  • 呑虛禪師의 禪敎觀
    ⾦光植 [2004]
  • 呑虛 講說集 −新華嚴經合論1
  • 呑虛 宅成의 四敎會通思想 硏究
  • 从明末时期“祖师禅”与“狂禅”之辨看中国禅法的晚景
    陈永革 [2013]
  • 中國의 歷史[隋·唐·五代]
  • 中國思想史
    ⾦⾕治 [1996]
  • 中國哲學의 理解
    김득만 [2000]
  • 中國哲學史(下冊)
    馮友蘭 [2003]
  • 中國哲學史
  • 中國儒學史3
    趙吉惠 [1997]
  • 三家龜鑑, H7
  • 三國遺事, T49
  • 『장자』의 비극미학적 사유방식
    탁양현 [2010]
  • 『법화경』 「비유품」의 사거에 대한 동물비유의 상징성 연구
    하영수 [2017]
  • 『論語』
  • ⽼子
  • 1920년대 보천교의 고민과 활로모색 -식민권력의 보고서를 중심으로-
    김철수 [2018]
  • (增補版)⽅山窟法語 −呑虛大禪師法語集
    月精寺 [2013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