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승자 시와 산문의 미적·정신적 특질 연구 - 두 장르의 상호 조응 양상을 중심으로

유준 2020년
논문상세정보
    • 저자 유준
    • 제어번호 106587849
    • 학술지명 한국어문교육
    • 권호사항 Vol. 30 No. - [ 2020 ]
    • 발행처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
    • 자료유형 학술저널
    • 수록면 253-281
    • 언어 Korean
    • 출판년도 2020
    • 등재정보 KCI등재
    • 소장기관 고려대학교 도서관
    • 판매처
    유사주제 논문( 0)

' 최승자 시와 산문의 미적·정신적 특질 연구 - 두 장르의 상호 조응 양상을 중심으로' 의 참고문헌

  • 현대시의 정신사
    최동호 [1985]
  • 한국 현대 여성시의 고백시적 경향과 언술 특성-최승자, 박서원, 이연자를 중심으로
    김승희 [2007]
  • 최승자 초기시 연구 ― 「無題」 연작에 대한 ‘꼼꼼히 읽기’를 중심으로
    유준 [2013]
  • 최승자 시의 애도 주체와 젠더 정치학
    이광호 [2016]
  • 최승자 시에 나타난 애도의 양상 연구
    김경은 [2011]
  • 최승자 시에 나타난 애도 양상과 그 의미
    정슬아 [2019]
  • 최승자 시에 나타난 부정의 정신
    김정신 [2014]
  • 최승자 시에 나타난 독신자 여성 삶의 재현 양상
    조연정 [2018]
  • 최승자 시에 나타난 광기와 분노 사이의 시 읽기
    이화영 [2019]
  • 최승자 시에 나타나는 사랑의 정신분석학적 연구
    이혜원 [2016]
  • 최승자 시 연구 - 시의식의 표현 양상을 중심으로
    박영우 [2008]
  • 즐거운 일기
    정과리 [1984]
  • 죽음, 아버지, 자궁, 그리고 시쓰기
    장석주 [1994]
  • 이성의 한계 안에서의 종교
    백종현 [2011]
  • 어떤 나무들은
    최승자 [1995]
  • 아슬아슬하게 아름다운, 생
  • 불안의 개념
  • 미학
  • 독일미학전통
    신혜경 [2013]
  • 고정희와 최승자 시에 나타난 모성성
    팽경민 [2013]
  • [단행본] 한 게으른 시인의 이야기
    최승자 [1989]
  • [단행본] 즐거운 일기
    최승자 [1984]
  • [단행본] 이 시대의 사랑
    최승자 [1981]
  • [단행본] 내무덤, 푸르고
    최승자 [1993]
  • [단행본] 기억의 집
    최승자 [1989]
  • H에게―모든 물은 사막에 닿아 죽는다
    최승자 [1998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