명화를 활용한 인터렉티브 스마트 사이니지의 효과에 관한 연구

한광석 2020년
논문상세정보
    • 저자 한광석
    • 제어번호 106587653
    • 학술지명 한국융합학회논문지
    • 권호사항 Vol. 11 No. 2 [ 2020 ]
    • 발행처 한국융합학회
    • 자료유형 학술저널
    • 수록면 101-107
    • 언어 Korean
    • 출판년도 2020
    • 등재정보 KCI등재
    • 판매처
    유사주제 논문( 0)

' 명화를 활용한 인터렉티브 스마트 사이니지의 효과에 관한 연구' 의 참고문헌

  • 증강현실을 활용한 원도심 상권 활성화방안
    이봉규 [2019]
  • 증강현실 지도제작에 대한연구
    김태은 [2018]
  • 제품의 명화차용효과(art infusion effect): 명화의 유명도와 이미지를 중심으로
    성영신 [2014]
  • 융복합시대 기업의 CSR활동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: 이미지 및 평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
    황동룡 [2016]
  • 아트마케팅 개념을 적용한 공간디자인의 연출특성에 관한 연구
    이경화 [2008]
  • 스마트 사이니지의 상호작용성과 플로우(Flow)가 인게이지먼트와 기억 접근성에 미치는 영향
    한광석 [2018]
  • 명화차용 인터랙티브 광고와 인쇄광고가 개인의 조절초점 성향에 따른 기억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
    김민관 [2018]
  • 명화 콘텐츠를 이용한 비주얼 아트 광고의 후광 효과
    천용석 [2011]
  • 디지털 사이니지와 스마트 미디어 융합이 인게이지먼트와 상호작용성 수준에 따라 기억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
    한광석 [2017]
  • 기업의 CSV활동이 브랜드 이미지와 소비자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: CSV의도성과 기업-소비자 동일시를 중심으로
    황윤환 [2019]
  • The Influence of Art Infusion in Advertising on The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
    M. K. Kim. [2018]
  • Novelty, Complexity, and Hedonic Value
    D. Berlyne. [1970]
  • Memory-Based Inferences During Consumer Choice
    D. Alan [1990]
  • Memory Factors in Advertising Effect of Advertising Retrieval Cues on Brand Evaluations
  • Measures of Perceived Interactivity : An Exploration of the Role of Direction of Communication, User Control, and Time in Shaping Perceptions of Interactivity
    J. Jee [2002]
  • Measures of Perceived Interactivity : An Exploration of the Role of Direction of Communication, User Control, and Time in Shaping Perceptions of Interactivity
  • HMD(Head Mounted Display) 가상현실 광고가 현존감과 인게이지먼트 수준에 따라 태도와 기억에 미치는 효과
    한광석 [2019]
  • Culture As Commodity : The Marketing of Cultural Objects and Cultural Experiences
  • Art Infusion : The Influence of Visual Art on the Perception and Evaluation of Consumer Products
    H. Hatvedt [2008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