공공미술의 확장: 디지털 사이니지(Digital Signage)를 활용한 유비쿼터스(Ubiquitous) 공간 구성

논문상세정보
    • 저자 고경호 이대철
    • 제어번호 106586762
    • 학술지명 우리춤과 과학기술
    • 권호사항 Vol. 16 No. 1 [ 2020 ]
    • 발행처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
    • 자료유형 학술저널
    • 수록면 95-111 ( 17쪽)
    • 언어 Korean
    • 출판년도 2020
    • 등재정보 KCI등재
    • 판매처
    유사주제 논문( 0)

' 공공미술의 확장: 디지털 사이니지(Digital Signage)를 활용한 유비쿼터스(Ubiquitous) 공간 구성' 의 참고문헌

  • 후기 디지털 시대 서울 공공미술 현황과 대안
    양지윤 [2006]
  • 장소의 운명 : 철학의 역사
  • 영혼의 쉼터 공공미술
  • 스마트시대의 광고 문화
    김병희 [2015]
  •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: 지형그리기
    이영욱 [2010]
  • 디지털사이니지 혁명
  • 도시 공간에서의 디지털 공공미술에 관한 연구
    최유미 [2007]
  • 공공미술의 신경향(新傾向) : 디지털 매체(媒體)의 활용과 관객의 참여
    이지희 [2009]
  • 『공공미술 도시를 그리다』
    홍경한 [2017]
  • https://www.fnnews.com/news/201512201048394294
  • https://polymediatech.com/solutions/digital_signagehttp://www.doopedia.co.kr
  • https://news.joins.com/article/22105603
  • http://www.timessquarenyc.org/times-square-arts/projects/midnight-moment/index.aspx
  • http://www.signmunhwa.co.kr/atl/view.asp?a_id=3778
  • http://arts.timessquarenyc.org/times-square-arts/projects/midnight-moment/chewing-gum/index.aspx