‘형제급난’의 서사적 전변과 우애의 신화화 -한국사회의 ‘형제서사’ 진단과 치유적 전개 방향-

김수연 2020년
논문상세정보
' ‘형제급난’의 서사적 전변과 우애의 신화화 -한국사회의 ‘형제서사’ 진단과 치유적 전개 방향-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<형제급난도>
  • Brotherhood Narrative
  • Mythologizing of Brotherhood
  • “Painting of Impending calamity Between Two Brothers”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8 0

0.0%

' ‘형제급난’의 서사적 전변과 우애의 신화화 -한국사회의 ‘형제서사’ 진단과 치유적 전개 방향-' 의 참고문헌

  • 復讐 殺人事件을 통해 본 朝鮮後期의 社會相 -『審理錄』을 중심으로-
    김현진 [2008]
  • 형제 갈등형 고전소설의 갈등 전개 양상과 그 지향점-<창선감의록>, <유효공선행록>, <적성의전>, <흥부전>을 대상으로-
    정충권 [2015]
  • 현대의 신화
  • 토도로프와 채트먼의 서사이론과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
    정운채 [2010]
  • 창선감의록
    이래종 [2002]
  • 자기서사의 변화 과정과 공감 및 감동의 원리로서의 서사의 공명
    정운채 [2012]
  • 인문예술미디어 콘텐츠의 활용
    김수연 [2018]
  • 인간관계의 기초로서의 형제관계에 대한 성서적 이해
    노숙현 [1997]
  • 오륜행실도 : 그림과 이야기로 배우는 사람답게 사는 법
    이숙인 [2019]
  • 옛이야기 형제담의 양상과 의미
    권혁래 [2010]
  • 역주 이륜행실도
    김안국 [2010]
  • 신데렐라와 그 자매들-인간의 시기심
  • 시학
  • 시기심과 수치심의 감정 벡터: 가인 이야기로 본 갈등과 배제
    이미영 [2013]
  • 소학집주
  • 상주 지역 문인들의 공동 창작의 전통과 문화적 기반-17세기 전반기 愚伏과 蒼石 시대의 활동을 중심으로-
    손유진 [2013]
  • 배제와 포용
  •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
    정운채 [2008]
  • 문학치료학 서사이론의 보완・확장 방안 연구 - 서사 개념의 재설정과 서사의 이원적 체계
    신동흔 [2016]
  • 문학치료 기초서사로서 형제서사 설정 문제-인간관계 발달과정에 따른 관계적 사건과 심리적 자리를 중심으로
    김수연 [2018]
  • 마이 시스터즈 키퍼
  • 마이 시스터즈 키퍼
  • 달밤의 약속, 완월회맹연 읽기
    김수연 [2019]
  • 달밤의 약속, <완월회맹연> 읽기
    구선정 [2019]
  • 구비 우애설화의 양상과 의미
    조춘호 [1993]
  • 경민편
  • 각사수교에 관한 연구
    연정열 [1993]
  • 가족관계학
    김주수 [1986]
  • 가정집
  • 蒼石 李埈과 <兄弟急難圖>
    이신성 [2005]
  • 朝鮮前期 倫理書 보급의 변화
    김훈식 [2017]
  • 史記
  • 兄弟急難圖
  • 兄弟 友愛譚 硏究
    葛垠珠 [1996]
  • 『심리록』
  • 「중종실록」
  • 〈창선감의록〉의 교화적 성격과 작가의식
    박길희 [2014]
  • ‘사도세자 이야기’를 반복 재연하는 한국인의 내면 풍경
    김수연 [2017]
  • My sister's keeper
  • <콩쥐팥쥐> 서사의 문학치료학
    권순긍 [2014]
  • <창선감의록>의 이본 변이 양상과 독자층의 상관관계
    이지영 [2003]
  • <창선감의록>의 ‘개과천선’과 악녀(惡女) 무후(無後)
    김수연 [2012]
  • <일락정기> 연구-구성방식을 중심으로
    탁원정 [1996]
  • 17세기 규방소설의 성립과 <창선감의록>
    임형택 [1988]
  • 16세기의 법적 질서와 <오륜가>의 발생 - 15세기와의 대비적 지점을 중심으로 -
    하윤섭 [2010]
  • 16세기 <二倫行實圖> 보급의 사회사적 고찰
    김훈식 [1985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