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시 확대를 둘러싼 대학입시 담론에 대한 비판적 분석

이민경 2020년
논문상세정보
    • 저자 이민경
    • 제어번호 106555163
    • 학술지명 동향과 전망
    • 권호사항 Vol. - No. 108 [ 2020 ]
    • 발행처 한국사회과학연구회
    • 자료유형 학술저널
    • 수록면 9-45
    • 언어 Korean
    • 출판년도 2020
    • 등재정보 KCI등재
    • 소장기관 건국대학교 상허기념중앙도서관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 도서관 부산대학교 중앙도서관 아주대학교 중앙도서관 이화여자대학교 중앙도서관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중앙도서관
    • 판매처
    유사주제 논문( 0)

' 정시 확대를 둘러싼 대학입시 담론에 대한 비판적 분석' 의 참고문헌

  • 핵심역량은 교육의 오래된 질문에 대한 새로운 해답이 될 수 있 는가?
    진미석 [2016]
  • 한국학부모의 교육열 분석
    현주 [2003]
  • 한국사회에서의 상급학교 진학 선택 결정요인
    김경근 [2006]
  • 한국사회 교육격차의 실태 및 결정요인
    김경근 [2005]
  •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여론조사
  • 한국 사회의 교육열에 대한 고유 이론 모형의 탐색
    오욱환 [1999]
  • 한국 교육정책의 실패 원인의 간파를 위한 상상력
    오욱환 [2009]
  • 학생부종합전형이 사교육 경감에 미치는 영향: P사립대학을 중심으로
    문윤지 [2018]
  • 학생부종합전형에 따른 고교 교육의 변화 분석
    허정은 [2015]
  • 학생부종합전형 정책 분석 및 개선 방안
    주영효 [2017]
  • 학생·학부모 정시 확대 주장하는 이유는…“학교·교사 불신
  • 학부모의 교육열 : 사회계층간의 비교를 중심으로
    김영화 [1992]
  • 학교를 거부하는 아이, 아이를 거부하는 사회
  • 학교는 붕괴하고 있는가: 학교의 일상을 통해 본 학교붕괴의 실체
    김정원 [2002]
  • 특별관리...몰아주기... 그래도 ‘학종’ 믿으라고요?
  • 출신 고등학교 유형에 따른 대학생들의 학업성취도 비교 연구: 특목고의 영향을 중심으로
    김성훈 [2009]
  • 중산층 어머니들의 자녀교육 담론: 자녀교육 지원태도에 대한 의미 분석
    이민경 [2007]
  • 정시로 입학한 대학생이 ‘핵심역량’ 우수…학종이 가장 낮아
  • 정시냐 수시냐가 문제가 아니다
  • 정시(수능) vs 수시(학종): 불평등과 불공정의 시각에서 보기
    이종현 [2019]
  • 정시 확대에 교사 “퇴행적 정책”, 학부모 “더 늘려야” 불만
  • 정시 확대가 가져 올 딜레마
  • 전환적 관점에서 살펴본 역량 중심 초등 영어 교육과정 운영
    강정진 [2016]
  • 자유학기제·진로체험 관련 미래형 역량 교육을 위한 21세기 교육실험 ᐨ거꾸로 캠퍼스 컨설팅
    이민경 [2017]
  • 입학사정관 제도에 대한 정보접근성 영향요인 및 그 계층적 함의
    황여정 [2012]
  • 입시 공정성 둘러싼 대중의 인식…논문 10편 보니
  • 쏟아지는 수행평가… 악 소리나는 중고생·학부모
  • 수행평가의 진실
  • 수시가 공정? 명문대생 자소서 보라, 저소득층 엄두도 못내
  • 소득계층별 대학입시전형 선택과 입학 성과에 관한 연구
    전병유 [2020]
  • 새벽 4시까지 수행평가 ‘허덕’…“학생들 혼수상태”
  • 사교육비 급증은 수시·학종 탓? 정시·수능 탓?
  • 비판적 담론분석과 비판적 해방적 학문
    신진욱 [2011]
  • 배제의 법칙으로서의 입시제도: 사회적 계층 수준에 따른 대학 입시제도 인식 분석
    문정주 [2019]
  • 만연한 학생부 ‘복붙’...“교사들은 왜 Ctrl+C, Ctrl+V를 하는가”
  • 대학생의 대입전형별 학교생활적응의 차이 분석
    오성배 [2017]
  • 대학 입학처장들 “정시 확대 반대…2022학년도 개편안 따라야”
  • 대학 입학 전형별 학생의 대학 학업 성과비교 연구
    이상우 [2018]
  • 대학 입시만큼은 공정해야 하지 않나 [주장] 학생부 종합전형을 폐지해야 한다
  • 대입공정성 강화방안 보도자료
  • 대입 수시, 확대될수록 사교육비는 증가했다
  • 누구도 관심 갖지 않는 ‘또 다른 고3’의 이야기
  • 급변하는 교육 환경과 서울교육의 방향
    장덕호 [2018]
  • 국민 78% “학종은 깜깜이 전형”… 수능 절대평가 땐 공정성이 숙제
  • 교육열의 사회문화적 구조
    오만석 [2005]
  • 교육열 올바로 보기 : 그 정체는 무엇이며 어떻게 다루어야 하나?
    이종각 [2003]
  • 교육 불평등 변화 양상 분석: 중간계급 및 코호트 분석을 중심으로
    문수연 [2016]
  • 교실수업 혁신을 통한 미시적 교육개혁에 대한시론적 고찰: 거꾸로 교실을 중심으로
    이민경 [2015]
  • 교사도 학교가 두렵다
    엄기호 [2013]
  • 교사 60%, 정시 확대 반대 “학종이 미래 역량에 더 바람직”
  • 과학교과에서의 핵심역량에 대한 세계의 동향에 준거하여 우리나라 현장 교사들의 인식 연구
    고은정 [2014]
  • 고3 수험생 82%, “정시가 수시보다 공정”
  • 고3 68% “수시보다 정시가 더 공정”
  • 거꾸로 교실(Flipped classroom)의 교실사회학적 의미 분석: 참여 교사들의 경험 을 중심으로
    이민경 [2014]
  • 강요된 무기력에 대한 학교교육체제 영향 분석
    김정아 [2017]
  • 『교육개혁은 왜 매번 실패하는 가』
    정병호 [2008]
  • “학생부 믿지 마세요” 현직 교사의 고백
  • “담론분석방법.”
    서덕희 [2011]
  • ‘수업시간에 자는 중학생’ 연구: 수업참여 기피 현상에 대한 근거이론
    성열관 [2014]
  • ‘본고사→학력고사→수능→학종’…세대별 입시제도 변천사
  • le sens pratique
  • The Melodrama of Mobility : Women, Talk, and Class in Contemporary South Korea
    Abelmann, N [2003]
  • The Evolution of Class Inequality in Higher Education : Competition, Exclusion, and Adaptation
    Alon, S. [2009]
  • Surveiller et punir
    Foucault, M [1975]
  • Psychologie sociale des relations a autrui
  • PISA 2015 Results in focus : what 15-year-olds know and what they can do with what they know
    OECD [2016]
  • PISA 2012 results in focus : what 15-year-olds know and what they can do with what they know
    OECD [2013]
  • P21 Framework Definitions
  • OECD 교육국장 “한국 대입, 많은 부담 초래…현 체제 오래 지속못해”
  • OECD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2030
  • New vision for education: Unlocking the potential of technology
  • New vision for education : Fostering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through technology
  • L’ordre du discours
    Foucault, M [1971]
  • La Reproduction-élément pour une théorie au système d’enseignement
    Bourdieu, P [1970]
  • In pursuit of status : The Making of south Korea’s new urban middle class
    Lett, D. P [1998]
  •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
  • Disrupting Class: How Disruptive Innovation Will Change the Way the World Learns
  • 2020년 학년도 대학 입학전형 시행계획 보도자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