간화선 수행 관련 술어(述語)에 내포된 은유

박재현 2019년
논문상세정보
' 간화선 수행 관련 술어(述語)에 내포된 은유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Ganhwaseon(看話禪)
  • Hwadu (話頭)
  • enlightenment
  • metaphor
  • seon (禪)
  • 간화선
  • 깨침
  • 선불교
  • 은유
  • 화두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,597 0

0.0%

' 간화선 수행 관련 술어(述語)에 내포된 은유' 의 참고문헌

  • 화두공부의 문을 열다
    이수경 [2014]
  • 현대불교
  • 표준국어대사전
  • 중앙일보 :
  • 중국 선종 역사 속에 드러난 화두의 생성, 강의, 참구에 관한 검토 - 『벽암록』 제1칙 「달마불식(達磨不識)」 번역을 사례로 삼아 -
    신규탁 [2011]
  • 종교체험
    김성민 [2001]
  • 종교 상상하기: 바빌론에서 존스타운까지
  • 종교 경험(religious experience)의 비교종교학적 연구 방법 고찰 ― 데이비드 허포드(David J. Hufford)의 “올드 해그(Old Hag)” 연구를 중심으로 ―
    성해영 [2009]
  • 이것이 간화선이다: 무비스님의 서장 강설
  • 은유의 인식론
    황희숙 [2008]
  • 은유와 실재
    이유선 [2004]
  • 언어, 표상, 세계
    노양진 [1999]
  • 신비주의의 관점에서 바라본 간화선(看話禪) - 종교체험과 수행 개념을 중심으로 -
    성해영 [2013]
  • 숭산행원의 선사상과 수행론
    최용운 [2012]
  • 선불교의 공안에서 효와(誵訛)의 속성과의미기능
    조영미 [2013]
  • 서장
    지상 [1998]
  • 삶으로서의 은유
  • 방송언어의 사회적 의미와 영향, In 방송프로그램 언어분석연구
    임태섭 [2001]
  • 디지털한글박물관
  • 대혜보각선사어록(6)
    김태완 [2011]
  • 뉴스 용어 이대로는 안된다: 임태섭 교수의 보도 언어론
    임태섭 [1997]
  • 공안선과 간화선
    인경 [2005]
  • 간화선의 수행체계로 본 조계종 간화선의 문제점
    성본 [2012]
  • 간화선의 성립배경
    김호귀 [2003]
  • 간화선에서의 疑와 看에 대한 考察
    강문선 [2007]
  • 간화선: 조계종 수행의 길
  • 간화선 화두간병론(話頭揀病論)과 화두 의심의 의미
    박태원 [2010]
  • 간화선 참구의 실제
    김영욱 [2003]
  • 話頭參究에 있어서 疑情頓發法
    이월호 [1997]
  • 大慧宗杲禪師禪法之特色
    鄧克銘 [1987]
  • 『大慧普覺禪師語錄』, 大正藏 47
  • ‘Religion’ and ‘Religious Studies’: No Difference at All
  • The Rhetoric of Experience and the Study of Religion
  • Meditation and Culture: The Interplay of Practice and Context
    Eifring, H. [2015]
  • How Zen Became Zen
  • Critical Terms for Religious Studies
  • Buddhist Modernism and the Rhetoric of Meditative Experience