송 사신단의 개경 游觀과 고려의 외교 공간 활용

이승민 2019년
논문상세정보
' 송 사신단의 개경 游觀과 고려의 외교 공간 활용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Diplomatic Space
  • Goryeodogyeong
  • Ritual
  • Song
  • Xuanhuafengshi Gaolitujing
  • gaegyeong
  • goryeo
  • monumentality
  • tourism
  • 개경
  • 고려
  • 고려도경
  • 관광
  • 기념비
  • 동신사
  • 보제사
  • 복원관
  • 숭산묘
  • 안화사
  • 약국
  • 외교 공간
  • 유관
  • 의례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,689 0

0.0%

' 송 사신단의 개경 游觀과 고려의 외교 공간 활용' 의 참고문헌

  • 한국 고대 신모(神母)와 국가제의(國家祭儀) –유화와 선도산 신모를 중심으로–
    채미하 [2016]
  • 필사본 『고려도경(高麗圖經)』의 유포와 의의
    장남원 [2009]
  • 태평한 변방: 고려의 對거란 외교와 그 소산
    이미지 [2018]
  • 중국 유불도 삼교의 만남
  • 이방인 서긍이 본 皇都 開京과 실상
    정은정 [2018]
  • 신증동국여지승람
  • 신라 선도성모 전승의 역사적 의미
    김선주 [2010]
  • 송사 권487, 외국3, 고려
  • 삼국사기 권12, 論曰
  • 사조선록 역주 1
    김한규 [2012]
  • 문종
  • 고려중기의 宋 使節 迎送과 伴使의 운용
    김규록 [2015]
  • 고려전기의 축성과 개경의 황성
    신안식 [2000]
  • 고려시대 송나라 사행해로(使行海路) 누정의 변천 연구
    허경진 [2007]
  • 고려사
  • 고려도경
  • 고려도경
    이경록 [2005]
  • 고려도경
  • 고려 예종의 통치행위에 나타난 유형적 특징과 그 정치적 배경
    김병인 [2011]
  • 고려 예종대 道家思想·道敎 흥기의 정치적 성격
    채웅석 [2008]
  • 고려 개경의 편제와 궁궐
    김창현 [2011]
  • 高麗時代의 國師․王師制度와 그 機能
    허흥식 [1975]
  • 高麗圖經의 遠洋船隊와 航海技術
    祁慶富 [1996]
  • 民間信仰의 公認과 擴散 - 宣和5년 國信使 일행의 해상조난과 海神에 대한 봉호하사 조치를 중심으로
    김상범 [2010]
  • 松京廣攷 권6, 사묘
  • 宣和奉使高麗圖經(이하 고려도경) 권25, 제전
  • 宋 徽宗代 紹述新政의 挫折과 私權的 皇權强化
    李玠奭 [1996]
  • 『고려도경』연구의 동향과 활용 가능성
    김수연 [2009]
  • 『고려도경』에 비친 고려인들
    김병인 [2018]
  • 『고려도경』과 고려의 문화적 형상
    김보경 [2011]
  • 『高麗圖經』의 坊市와 長廊에 대한 기록 再考
    강병국 [2018]
  • 「『高麗圖經』譯註」(1)-序의 분석을 중심으로-
    임형수 [2016]
  • ‘선화봉사고려사절단’의 일정과 활동에 대하여
    김성규 [2014]
  • Interstate Relations in East Asia and Medical Exchanges in the Late Eleventh Century and Early Twelfth Century
  • 12세기초 송의 책봉 제의와 고려의 대응
    김보광 [2016]
  • 1123년 서긍의 고려 항로에 대한 재검토- 夾界山~馬島 安興亭 구간을 중심으로 -
    문경호 [2016]
  • 1123년 徐兢의 고려 항로와 慶源亭
    문경호 [2010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