공간 인지를 위한 초등 사회과 행정구역 학습의 성격

양병일 2019년
' 공간 인지를 위한 초등 사회과 행정구역 학습의 성격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
  •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
  • Administrative districts of Korean metropolitan government
  • Spatial cognition
  • direction
  • distance
  • position
  • 거리
  • 공간인지
  • 광역지방자치단체 수준의 행정 구역
  • 방위
  • 위치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374 0

0.0%

' 공간 인지를 위한 초등 사회과 행정구역 학습의 성격' 의 참고문헌

  • 현대 기초통계학의 이해와 적용
    성태제 [2005]
  • 초등 지리교육에 적합한 위치 학습의 내용과 방법 모색
    심승희 [2010]
  • 지방자치법 [시행 2017. 7. 26.] [법률 제14839호, 2017. 7. 26., 타법개정], 제2조1항
  • 지리 교육에서 지역규모 인식
    조성욱 [2005]
  • 일본의 지방자치법地方(昭和二十二年法律第六十七号), 施行日:令和元年十月一日, 最終更新:令和元年六月十四日公布(令和元年法律第三十七号)改正
  • 위치 인지와 지역 인지간의 관련성연구
    김다원 [2005]
  • 아동의 공간인지 능력의 발달에 관한 연구-인지도의 분석을 중심으로-
    이경한 [1988]
  • 사회과 지리 영역에서 지명교육의 현상과 필수지명의 선정
    심정보 [2007]
  • 사회과 교육과정
  • 사회과 교육과정
  • 사회 5-1
    교육부 [2019]
  • 사회 4-1
    교육부 [2014]
  • 부산의 생활 4학년
  • 문대통령, ‘동해를 일본해로’ 잘못 쓴 공공기관 엄중 경고
  • 대학생의 공간 인지도
    강경원 [2005]
  • 그림지도에 나타난 초등학교 학습자의 공간인지
    양병일 [2018]
  • 광역지방자치단체 소비생활센터 운영지침 [시행 2018. 1 . 2 . ] [공정거래위원회예규 제290호, 2017. 12. 29., 제정], 제1조
  • 景観の意味付けに基づいた地理的思考の分類
    梁炳逸 [2011]
  • 小学校学習指導要領
  • 子ども世界の地図
    寺本潔 [1988]
  • Image and environment: cognitive mapping and spatial behavior
    Hart, R. A. [1973]
  • Geographical Education: Reflection and Action
    Fien, J. [1983]
  • 2015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시안의 기본 방향과 주요 특징 및 변화 양상
    은지용 [2015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