박정희 정권기 코미디영화를 통한 국민 명랑화 전략 : 텍스트의 정치적 함의를 중심으로

김대근 2019년
논문상세정보
' 박정희 정권기 코미디영화를 통한 국민 명랑화 전략 : 텍스트의 정치적 함의를 중심으로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1960s
  • 1960년대
  • Comedy movies
  • Discourse
  • cheerfulness
  • park chung-hee
  • 담론
  • 명랑
  • 박정희
  • 코미디영화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,211 0

0.0%

' 박정희 정권기 코미디영화를 통한 국민 명랑화 전략 : 텍스트의 정치적 함의를 중심으로' 의 참고문헌

  • 혼란 없는 안정 속 중단 없는 전진을
  • 현대 한국의 영화 재건논리와 코미디 영화의 정치적 함의 (1945-60) - 명랑하고 유쾌한 ‘발전 대한민국’ 만들기 -
    김청강 [2011]
  • 한국형 경제건설2
    오원철 [1996]
  • 한국형 경제건설1
    오원철 [1995]
  • 한국현대사산책: 1960년대편 3권
    강준만 [2004]
  • 한국의 자본가 계급
    서재진 [1991]
  • 한국의 베트남 전쟁 참전 동기에 관한 재고찰
    최동주 [1996]
  • 한국의 방송인
    정일몽 [2001]
  • 한국영화정책사
    박지연 [2005]
  • 한국영화자료편람
  • 한국영화역사
    김미현 [2014]
  • 한국영화 정책사
    배수경 [2005]
  • 한국 현대사 산책 1960년대편 2권
    강준만 [2004]
  • 한국 코미디영화 형성기의 담론분석: 텍스트의 사회역사적 의미를 중심으로
    김대근 [2016]
  • 페이소스 아쉬운 코미디언
  • 팔도강산의 배석인 감독
  • 팔도강산은 독재정권의 노골적인 홍보영화였다
    이영미 [2015]
  • 팔도강산 하단광고
  • 팔도강산 상영 법 저촉 안 된다
  • 파병 50주년에 되돌아보는 베트남 전쟁과 한국군 파병
    박태균 [2014]
  • 텍스트의 즐거움
    Barthes, R. [1997]
  • 코미디언 서영춘씨 1개월간 출연정지
  • 치안확보로 명랑사회를
  •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한국영화 1001
    이세기 [2011]
  • 조국 근대화와 스펙터클이 지배한 1960년대의 서울 풍경-1960년대 소설을 중심으로-
    최강민 [2009]
  • 전진의 해로 공업입국
  • 이야기 한국영화사
    김 화 [2001]
  • 유신이념의 실천도장. 1970년대 새마을운동
    이용기 [2012]
  • 유산 둘러싼 청춘희극
  • 웃음: 희극성의 의미에 관한 시론
    Bergson, A. [1992]
  • 우리민족의 나갈길
    박정희 [1962]
  • 영화의 검열기준과 그 실제
  • 영화 <팔도강산>(1967) 속의 조국근대화 담론과 로컬리티
    조관연 [2009]
  • 에로 그로 넌센스
    소래섭 [2005]
  • 어느 광대의 사랑
    김희갑 [1992]
  • 악담익살에 브레이크
  • 신간소개
  • 스펙터클로 재현되는 ‘조국근대화’와 영화 <팔도강산> 시리즈(1967-1971)의 대중성
    노명우 [2015]
  • 순회상영 지시 경기도 공보당국
  • 성의 역사1 : 지식의 의지
  • 새마을 운동의 이념과 실제
  • 비록 한국의 대통령
    이상우 [1993]
  • 보건의료 제도환경에 따른 한방병원의 변화 - 제도주의적 관점의 적용 -
    박민정 [2014]
  • 박정희식 경제성장 정책의 종점으로서 경제안정화 종합시책
    박태균 [2019]
  • 박정희를 넘어서
    박상훈 [1998]
  • 박정희 정권기 영화 검열과 감성 재현의 역학
    박유희 [2012]
  • 박대통령연두교서 요지
  • 박대통령 예방
  • 명랑한 생활운동 전개
  • 도시의 명랑화
  • 대중서사장르의 모든것 4_코미디
    송효정 [2013]
  • 공보부 권한 확대 사전검열을 강화
  • 고쳐 쓴 한국현대사
    강만길 [2006]
  • 고아들을 가정으로
  • 결식아동 돕기 운동을 벌이자
  • 격조 있는 명랑영화 팔도강산
  • 개발독재와 박정희 시대: 우리시대의 정치 경제적 기원
    서익진 [2003]
  • 「얄개담론에 대한 계보학적 접근 : 당대의 감정구조와 외재적 조건을 중심으로」
    김대근 [2016]
  • The Stages of Economic Growth : A Non-Communist Manifesto
  • Binary Opposition and Sexual Power in Paradise Lost
    Smith, G. [1996]
  • 6·3학생운동사
  • 60년대 한국 코미디: 핵심코드와 사회적 의미 작용
    유지나 [1999]
  • 1970년대 한국 명랑만화의 담론분석
    김대근 [2016]
  • 1960년대 후반기 한국 코미디영화의 갈등구조에서 드러나는 전통희극의 미학적 요소 연구
    서곡숙 [2007]
  • 1960년대 후반 코미디영화의 ‘명랑’과 ‘저속’
    박선영 [2016]
  • 1960년대 한국영화의 '근대적 국민' 형성과정
    염찬희 [2007]
  • 1950년대 잡지 『아리랑』과 명랑소설의 ‘명랑성’ :가족서사를 중심으로
    김현주 [2012]
  • 1950-1960년대 한국 영화포스터 이미지 연구
    문혜영 [2008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