고전소설에 대한 디지털 감정 분석방법론 탐색-<구운몽>을 대상으로-

' 고전소설에 대한 디지털 감정 분석방법론 탐색-<구운몽>을 대상으로-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Emotional Analysis
  • < 구운몽 >
  • Artificial Intelligence Humanities
  • Classical Novel
  • digital humanities
  • the cloud dream of the nine
  • 감정 분석
  • 고전소설
  • 디지털 인문학
  • 인공지능인문학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649 0

0.0%

' 고전소설에 대한 디지털 감정 분석방법론 탐색-<구운몽>을 대상으로-' 의 참고문헌

  • 「九雲夢」의 인물 형상과 소설사적 의미
    전성운 [2001]
  • 한국어 감정분석 코퍼스(KOrean Sentiment Analysis Corpus, KOSAC)
  • 한국 문학공간의 특성과 Web GIS 구축자료에 관한 기초 연구
    이은숙 [2001]
  • 컴퓨터를 이용한 고전문학 디지털콘텐츠의 유사도에 따른 이본 계통 분류 연구
    최운호 [2014]
  • 컴퓨터 문헌 분석 기법을 활용한 <토끼전> 이본 연구
    최운호 [2018]
  • 주제 파악의 방법과 『구운몽』의 주제
    정병설 [2013]
  • 인공지능을 활용한 <소현성록> 연작의 감정 연구
    강우규 [2018]
  • 야담집 색인 데이터베이스의 구축방안 모색-『기문총화(記聞叢話)』를 중심으로-
    권기성 [2017]
  • 소현성록 연작의 문체론적 고찰 -컴퓨터를 활용한 계층분석을 바탕으로
    강우규 [2018]
  • 빅데이터와 고전문학 연구방법론
    김바로 [2019]
  • 박지원의 「열하일기」에 대한 인터넷 기반 지리정보 분석 및 서비스
    신정엽 [2017]
  • 문학지도의 변화, 종이에서 디지털로
    장영우 [2017]
  • 문학의 디지털 지도그리기- 전자문화지도의 작성과 문학의 시각화 -
    유인혁 [2017]
  • 디지털 맵핑(Mapping)을 통한<구운몽> 연구 및 교육적 활용
    강우규 [2019]
  • 동양 異文化의 표상 一夫多妻(polygamy)를 둘러싼 근대 구운몽 읽기의 세 국면 -스콧(Elspet Robertson Keith Scott), 게일(James Scarth Gale), 김태준의 구운몽 읽기-
    이상현 [2007]
  • 나선정벌 서사의 시각화 콘텐츠 제작 방안 모색
    권혁래 [2016]
  • 금기시된 욕망과 속임수: 애정소설과 한문풍자소설의 소설사적 관련 양상
    엄태식 [2015]
  • 군집분석 기법을 이용한 텍스트의 계통 분석-수궁가 '고고천변' 대목을 대상으로
    최운호 [2009]
  • 구운몽
    정병설 [2013]
  • 계량적 문체 분석을 통한 <소현성록> 연작의 변이양상 고찰 - 이대15권본과 규장각21권본을 중심으로 -
    강우규 [2019]
  • 「춘향가」서두 단락의 어휘 사용 유사도를 이용한 판본 계통 분류 연구
    최운호 [2012]
  • 「구운몽」에 형상화된 남녀관계의 소설사적 계보와 역사적 성격
    강상순 [2008]
  • ‘십장가’ 대목의 어휘 사용 유사도와 계층적 군집 분석 방법을 이용한 판본 계통 분류 연구
    최운호 [2012]
  • <소현성록> 연작에 나타난 감정의 출현 빈도와 의미 — 컴퓨터를 활용한 통계학적 분석을 바탕으로 —
    강우규 [2018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