생성적 관점에서 바라본 학교혁신의 방향

' 생성적 관점에서 바라본 학교혁신의 방향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재현담론
  • becoming discourse
  • community
  • curriculum
  • representation discourse
  • school culture
  • school innovation
  • teacher professionality
  • 교사 전문성
  • 교육과정
  • 생성적 관점
  • 지역사회
  • 학교문화
  • 학교혁신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4,340 0

0.0%

' 생성적 관점에서 바라본 학교혁신의 방향' 의 참고문헌

  • 호모사케르로서 학생과 경쟁교육정책
    목영해 [2010]
  • 현대교육사상
    목영해 [2009]
  • 혁신학교에 대한 교육학적 성찰
    심성보 [2014]
  • 혁신학교란 무엇인가
    김성천 [2011]
  • 학교교육 혁신론 :교육개혁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향하여 학교교육 혁신론 :교육개혁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향하여
    김인희 [2008]
  • 플라톤과 들뢰즈 철학에서의 ‘문제’의 성격 탐색 - ‘재현의 교육’ 대 ‘생성의 교육’을 중심으로 -
    김재춘 [2012]
  • 폭력과 경계 너머의 사유와 문학 - 들뢰즈와 가타리의 철학과 문학
    김겸섭 [2009]
  • 타자의 타자성의 교육학적 메시지: E. Levinas의 철학을 중심으로
    노상우 [2009]
  • 참학력 기반 초등교육 실천 및 교육과정 개발 세미나 토론문
  • 중산층 밀집지역에 위치한 한 중학교 관리자의 학교운영과 학부모의 관계
    김미숙 [2017]
  • 중산층 밀집지역에 거주하는 중산층 학부모들의 자녀교육문화: 분당구 사례
    김미숙 [2015]
  • 좋은 학교의 교육철학 문화
    이기범 [2001]
  • 에토스(ethos)로서의 윤리학과 정동 - 들뢰즈의 윤리적 논의와 의미를 중심으로 -
    김은주 [2015]
  • 바디우(Alain Badiou) 보편적 진리론의 교육학적 함의
    목영해 [2013]
  • 바디우 철학에서의 존재, 진리, 주체: 『존재와 사건』을 중심으로
    서용순 [2011]
  • 마을교육공동체란 무엇인가?: 탄생, 뿌리 그리고 나침반
    서용선 [2016]
  • 라캉의 정신분석에서 인격 발달과 그 교육적 함의: 자아와 주체 형성 과정을 중심으로
    마상룡 [2011]
  • 라캉의 언어사회화론 탐색: '아버지의-이름'이 가정교육에 주는 시사점
    김영철 [2005]
  • 들뢰즈의 유목주의와 그 교육적 함의
    목영해 [2010]
  • 들뢰즈의 시간론의 교육적 함의
    김재춘 [2011]
  • 들뢰즈의 「의미의 논리」에 나타난 ‘반-효과화’로서의 교육
    김영철 [2008]
  • 들뢰즈의 ‘존재론적-윤리학’ : 들뢰즈의 ‘정동의 윤리학’과 그 존재론적 근거로서의 ‘존재의 일의성’
    조현수 [2015]
  • 들뢰즈와 가타리의 천개의 고원에 나타난 교육 이미지
    김영철 [2007]
  • 데리다의 정의론: 해체론의 정치학과 미학
    조규형 [2008]
  • 단위학교 혁신과정에서의 학생의 역할에 관한 질적 연구 -경기도 A 혁신고등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-
    남미자 [2015]
  • 다문화교육의 의미에 대한 교육철학적 고찰
    심승환 [2009]
  • 국가-사회적 요구와 개별성 함양 사이의 학교교육 - 한국 학교교육의 문제를 중심으로
    정영근 [2013]
  • 구조주의와 해체주의 그리고 데리다
    김상효 [1992]
  • 교육열, 능력주의 그리고 교육 공정성 담론의 재고(再考): 드라마 <SKY 캐슬>의 담론 분석을 중심으로
    남미자 [2019]
  • 교육과정 가능성의 개념 탐구
    김세영 [2013]
  • 교사, 학교를 바꾸다: 미래를 여는 교사운동 참교육에서 학교혁신으로 교사, 학교를 바꾸다: 미래를 여는 교사운동 참교육에서 학교혁신으로
    정진화 [2016]
  • 『혁신학교, 한국교육의 미래를 열다』
    송순재 [2017]
  • 「들뢰즈의 "기호와의 마주침을 통한 배움「의 교육적 의미 탐색」
    김재춘 [2012]
  • ‘타자성 철학’의 현대교육학적 함의 -Derrida를 중심으로-
    노상우 [2008]
  • Lacan 거울단계 이론의 교육철학적 함의
    서상문 [2011]
  • Jacques Derrida & Gilles Deleuze :의미와 무의미의 경계에서
    박영욱 [2009]
  • Deleuze의 되기, 생성의 교육(학)적 해석
    김재춘 [2010]
  • Deleuze와 Guattari의 지식론에 대한 교육학적 고찰: ‘수목적 지식’ 과 ‘리좀적 지식’을 중심으로
    최명선 [2006]
  • (한국교육의 희망과 미래) 혁신학교 :경쟁과 차별에서 배움과 돌봄으로
    성열관 [2011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