M. C. Nussbaum의 신(新)공교육론: 의의와 과제

배영주 2019년
논문상세정보
' M. C. Nussbaum의 신(新)공교육론: 의의와 과제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Capability approach
  • Fundamental education
  • Human development paradigm
  • Public education
  • m.c.nussbaum
  • 공교육
  • 기초교육
  • 역량 접근법
  • 인간 계발 모델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89 0

0.0%

' M. C. Nussbaum의 신(新)공교육론: 의의와 과제' 의 참고문헌

  • 혐오와 수치심 : 인간다움을 파괴하는 감정들
  • 학교, 국가 그리고 시장
    Witty, G. [2000]
  • 인간성 수업: 새로운 전인교육을 위한 고전의 변론
  • 연민의 사회적 역할: 누스바움의 연민 분석을 중심으로
    이선 [2018]
  • 역량의 창조: 인간다운 삶에는 무엇이 필요한가?
  • 서사적 상상력: 인문학적 페미니즘의 가능성
    임옥희 [2012]
  • 미래지향적 교육생태계 조성을 위한 교육체제 재구조화 연구
    김흥주 [2016]
  • 되살려야 할 인간의 가치: 진선미
    Gardner, H. [2013]
  • 다문화 시민교육의 이념 -M. 왈쩌의 관용론과 M. 누스바움의 시민교육론을 중심으로-
    최성환 [2015]
  • 누스바움의 민주주의를 위한 시민교육 -‘이익 창출’에서 ‘인간 계발’ 모델로-
    신응철 [2013]
  • 교육사회학
    김신일 [2009]
  • 공부를 넘어 교육으로
  • 공교육 이념과 기능의 효용성 및 시대적 적합성에 대한 일 고찰
    김영화 [2001]
  • 감정의 격동
  • 감성과 인문교육 그리고 세계시민주의 - 마사 누스바움에 관하여 -
    박민수 [2016]
  • 「역량과 인권: 센과 누스바움」
    허성범 [2013]
  • The standard of living
    Sen, A. [1987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