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960년대 모더니즘 건축과 도자기 벽화, 예술의 종합과 건축의 전통론

조현정 2019년
논문상세정보
' 1960년대 모더니즘 건축과 도자기 벽화, 예술의 종합과 건축의 전통론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최순우
  • Art Society of Korea
  • Choi Sunu
  • Chung Kyu
  • Kim Swoo-geun
  • ceramic
  • folkart
  • rockefeller foundation
  • tradition
  • 김수근
  • 록펠러재단
  • 민예
  • 세라믹
  • 전통
  • 정규
  • 한국조형문화연구소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726 0

0.0%

' 1960년대 모더니즘 건축과 도자기 벽화, 예술의 종합과 건축의 전통론' 의 참고문헌

  • 한국현대도자공예운동서설
    정규 [1971]
  • 한국의 현대도자 1
    임무근 [2003]
  • 한국의 공예
    이경성 [1966]
  • 좋은 길은 좋을수록 좋고 나쁜 길은 넓을수록 좋다: 김수근 공간 인생론
    김수근 [1989]
  • 조자용과 민화연구
    이영실 [2019]
  • 전통을 계승하는 길은?
    김중업 [1967]
  • 소박한 자연미: 조선백자 항아리에 대하여
  • 불제 윤효중의 예술과 인생
    정규 [1967]
  • 민예질적 형질에 새 해석
  • 민예론의 수용양상과 민예의 미적가치 - 야나기 무네요시의 연구에 대한 한·일간 비교를 중심으로 -
    신나경 [2015]
  • 모더니티와 전통론 : 혼돈의 시대, 미술을 통한 정체성 읽기
    박계리 [2014]
  • 록펠러 재단의 문화사업과 한국미술계 (I)
    정무정 [2019]
  • 김중업 : 건축가의 빛과 그림자
    김중업 [1984]
  • 근대 미술가의 재발견 1: 절필시대
    김예진 [2019]
  • 경복궁 야화
    김재원 [2000]
  • 「1960년대 말 한국미술과 건축에서의 환경」
    신정훈 [2017]
  • 61년에 지표를 둔 경자문화: 건축, 공예
  • 1960년대 후반 한국 기하추상미술의 도시적 상상력과 이후 소환된 자연
    김미정 [2014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