텍스트 언어학 기반 한국어 교육을 위한 제언

김정남 2019년
' 텍스트 언어학 기반 한국어 교육을 위한 제언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Korean Language education
  • anaphora
  • authenticity
  • coherence
  • composition
  • context
  • discourse
  • ellipse
  • text linguistics
  • textuality
  • 담화
  • 대용어
  • 맥락
  • 생략
  • 실제성
  • 응집성
  • 작문
  • 텍스트 언어학
  • 텍스트성
  • 한국어교육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3,365 0

0.0%

' 텍스트 언어학 기반 한국어 교육을 위한 제언' 의 참고문헌

  • 향후 외국어로서이 한국어 화행 교육 연구의 방향성 -미국 대학 영어권 KFL 학습자를 대상으로 -
  • 한국어교육에서의 담화, 텍스트, 장르 선정과 활용 토론문 - 실제 담화, 텍스트를 사용한 교육의 실태 및 개선방안 -
  • 한국어교육에서의 담화, 텍스트, 장르 선정과 활용
    장소원 [2012]
  • 한국어 화행 수집 도구 분석 - 거절 화행 DCT를 중심으로 -
    김인규 [2012]
  • 한국어 작문 텍스트 질의 분석 도구에 관한 연구 - 주장하는 글을 중심으로 -
    황희선 [2012]
  • 한국어 자기소개서의 장르 분석적 연구
    하승현 [2012]
  • 한국어 쓰기 교육을 위한 텍스트 분석의 내용과 방법
    이미혜 [2012]
  • 한국어 쓰기 교육을 위한 장르 분류 연구
    이미혜 [2011]
  • 한국어 수업 교재 텍스트와 문화문법
    윤선영 [2012]
  • 한국어 교육에서의 담화, 텍스트 장르 선정과 활용을 위한 조건
    박용익 [2012]
  • 한국어 교실에서 구두 발표의 담화분석 그 교육적 함의 - 교포와 비교포의 구두 발표에 나타나는 문체적 특징을 중심으로
    이해영 [2012]
  • 텍스트 이해에서 문어 담화 지식 활용에 관한연구, -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사고 구술 자료를 대상으로 -
  • 텍스트 분석을 통한 작문 평가 방안
    배소영 [2012]
  •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텍스트 응집성 인식 양상 연구
  • 장르 중심 한국어 쓰기 교육의 내용 체계
    이미혜 [2010]
  • 비판적 담화분석과 한국어 교육 - 신문 사설 분석을 중심으로-
  • 담화에 근거한 한국어교육 - 언어지식을 중심으로 -
  • 담화, 텍스트를 통한 한국어교육의 역사 및 의의
    진정란 [2012]
  • ‘한국어교육에서의 담화, 텍스트, 장르 선정과 활용’ 토론문 - 실제 담화, 텍스트를 사용한 교육의 실태 및 개선방안
    강승혜 [2012]
  • ‘메타 텍스트’를 중심으로 본 한국어 교재 텍스트의 기능적 특성 연구
    김희경 [2012]
  • KFL Learners’ Text-Type Preferences
  • Ganre-based Curriculum Development for Advanced Learners at the College Level
    Joowon Suh [2012]
  • Formality, interactivity, colloquialism, and personal detachment /involvement in Korean language -issues and implication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-
  • "한국어교육학에서의 담화 연구 분석"
    강현화 [2012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