『법화경』 「신해품」 ‘장자궁자유’와 기성대사의 「염불환향곡」을 통해 본 ‘고향’의 상담심리학적 의미

김선화 2019년
논문상세정보
' 『법화경』 「신해품」 ‘장자궁자유’와 기성대사의 「염불환향곡」을 통해 본 ‘고향’의 상담심리학적 의미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Buddhist Counseling
  • Yeombulhwanhyanggok(念佛還鄕曲)
  • and Jangjagungjayu(長者窮子喩)
  • thenatureofbuddha
  • true ego
  • “hometown”
  • 고향
  • 불교상담
  • 불성(佛性)
  • 염불환향곡
  • 장자궁자유
  • 참자아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315 0

0.0%

' 『법화경』 「신해품」 ‘장자궁자유’와 기성대사의 「염불환향곡」을 통해 본 ‘고향’의 상담심리학적 의미' 의 참고문헌

  • 念佛禪이란 무엇인가
    韓普光 [1993]
  • 칼 로저스의 인간중심상담에서 ‘진정한 사람되기’에 관한 불교적 시선
    이영림 [2018]
  • 초기불교의 자기사랑에 관한 고찰
    안양규 [2016]
  •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해결을 위한 불교상담-심우도(尋牛圖)를중심으로
    정미숙 [2015]
  • 청소년의 자원봉사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: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
    김해성 [2018]
  • 청소년의 부모지지와 자아실현욕구가 학업만족 및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
    강현권 [2015]
  •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에 관한 연구
    강가영 [2013]
  • 청소년기 자아 정체성 연구의 대안적 접근: 서술적 정체성 발달
    김근영 [2012]
  • 청소년기 스트레스의 영향요인: 긍정적 자아개념과 자기신뢰감의 영향을 중심으로
    김요셉 [2011]
  • 참고향은 어디인가
    아잔 차 [2017]
  • 종교 활동과 문화 활동이 청소년의 자아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
    정득 [2018]
  • 자기성장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
    김옥진 [2007]
  • 일탈과 귀환의 인유론적(因由論的) 고찰 - 법화경 ‘장자궁자의 비유’와 ‘심우도’를 중심으로
    김선화 [2017]
  • 염불환향곡(念佛還劉曲)
  • 염불환향곡
    김운학 [2005]
  • 염불환향곡
    조은수 [2005]
  • 염불 수행과 벤슨의 이완반응
    권민화 [2017]
  • 불교와 인간
  • 불교에서 ‘고향’의 비유와 그 상징의 종교ㆍ철학적 의미 : 기성쾌선(箕城快善)의 ‘염불환향곡’(念佛還劉曲)을 중심으로
    조홍원 [2004]
  • 불교상담의 정의와 이론에 관한 일고찰
    윤희조 [2017]
  • 불교상담의 기본적 구성요소에 대한 고찰
    권경희 [2007]
  • 불교상담에서의 카르마개념 적용
    이충현 [2019]
  • 법화경총설
    석도림 [2014]
  • 법화경
  • 무상정등정각(無上正等正覺)에서 나온 부처님의 새로운 수행법
    이중권 [2019]
  • 만트라 요가와 심신수련
    김관영 [2004]
  • 대승기신론강설
    이평래 [2016]
  • 대승기신론
  • 대승기신론
    권서용 [2016]
  • 다차원 지지와 행복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
    신동윤 [2019]
  • 다시 읽는 법화경
    차차석 [2010]
  • 뇌기반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
  • 국어대사전
  • 曉峰의 法語에 나타난 歸鄕意識과 그 意味 試探
    차차석 [2017]
  • 曉峰의 定慧結社와 시대적 의의
    김경집 [2010]
  • 『한국불교전서』 9, 「箕城大師念佛還鄕曲」
  • 『시공불교사전』
    곽철환 [2003]
  • ‘자리이타(自利利他)’의 불교 심리학적 의미
    안환기 [2018]
  • <회심가>의 컨텍스트와 작가론적 전망
    김종진 [2007]
  • 18세기 기성쾌선의 念佛門 연구 - 念佛門의 禪敎 껴안기 -
    이종수 [2008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