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의 혼인과 가족 문화의 관점에서 본 <선녀와 나무꾼> – 결혼 생활에 관한 집단 기억과 공유된 정서를 중심으로

전주희 2019년
' 한국의 혼인과 가족 문화의 관점에서 본 <선녀와 나무꾼> – 결혼 생활에 관한 집단 기억과 공유된 정서를 중심으로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<A Fairy and A Woodcutter>
  • <선녀와 나무꾼>
  • collective memory
  • family culture
  • family of origin
  • independence
  • marriagecustom
  • organized family
  • separation
  • shared passion
  • 가족문화
  • 공유된 정서
  • 구성가정
  • 독립
  • 분리
  • 원가정
  • 집단 기억
  • 혼인문화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666 0

0.0%

' 한국의 혼인과 가족 문화의 관점에서 본 <선녀와 나무꾼> – 결혼 생활에 관한 집단 기억과 공유된 정서를 중심으로' 의 참고문헌

  • 한국구비문학대계 DB
  • 한국구비문학대계 8-9(경상남도 김해시 김해군편)
    김승찬 [1983]
  • 한국구비문학대계 8-6(경상남도 거창군편)
    최정여 [1981]
  • 한국구비문학대계 8-14(경상남도 하동군편)
    김승찬 [1986]
  • 한국구비문학대계 8-11(경상남도 의령군편2)
    정상박 [1984]
  • 한국구비문학대계 7-4(경상북도 성주군편)
    최정여 [1980]
  • 한국구비문학대계 7-16(경상북도 구미시 선산군편)
    최정여 [1987]
  • 한국구비문학대계 7-12(경상북도 군위군편)
    최정여 [1984]
  • 한국구비문학대계 7-1(경상북도 경주 월성편)
    조동일 [1980]
  • 한국구비문학대계 6-8(전라남도 장성군편)
    최래옥 [1986]
  • 한국구비문학대계 6-6(전라남도 신안군편)
    최덕원 [1985]
  • 한국구비문학대계 6-5(전라남도 정주시 정읍군편2)
    이현수 [1987]
  • 한국구비문학대계 6-3(전라남도 고흥군편)
    김승찬 [1984]
  • 한국구비문학대계 6-11(전라남도 화순군편)
    최래옥 [1987]
  • 한국구비문학대계 6-1(전라남도 진도군편)
    지춘상 [1980]
  • 한국구비문학대계 5-7(전라북도 정주시 정읍군편)
    박순호 [1987]
  • 한국구비문학대계 5-2(전라북도 전주시 완주군편)
    최래옥 [1981]
  • 한국구비문학대계 4-5(충청남도 부여군편)
    박계홍 [1984]
  • 한국구비문학대계 4-4(충청남도 보령군편)
    박계홍 [1983]
  • 한국구비문학대계 4-3(충청남도 아산군편)
    서대석 [1982]
  • 한국구비문학대계 4-2(충청남도 대덕군편)
    박계홍 [1981]
  • 한국구비문학대계 3-2(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군편)
    김영진 [1981]
  • 한국구비문학대계 2-7(강원도 횡성군편)
    서대석 [1984]
  • 한국구비문학대계 1-7(경기도 강화군편)
    성기설 [1982]
  • 한국구비문학대계 1-6(경기도 안성군편)
    조희웅 [1982]
  • 한국구비문학대계 1-4(경기도 의정부시 남양주군편)
    조희웅 [1981]
  • 한국구비문학대계 1-3(경기도 양평군편)
    성기설 [1980]
  • 한국고전종합DB
  • 전통혼례 제도사와 시집살이 문화의 탄생
    김연수 [2018]
  • 장남과 그의 아내
    김현주 [2001]
  • 옛이야기의 의미와 가치의 생산적 수용을 위한 수업사례 연구-초등학생대상 수업활동을 중심으로
    노제운 [2013]
  • 여성생애담으로서 시집살이담의 의의와 구연 양상
    김경섭 [2012]
  • 여성 자기서사체의 인식
    박혜숙 [2002]
  • 선녀는 참지 않았다
    구오 [2019]
  • 나무꾼과 선녀 설화 연구
    배원룡 [1993]
  • 구전이야기 연행과 공동체 경계의 재구성
    김영희 [2011]
  • 與猶堂全書
  • 春官通考
  • 「나무꾼과 선녀」그림책에 나타난 ‘혼인’의 의미 고찰
    노제운 [2018]
  • ‘나무꾼과 선녀’ 설화의 민담적 성격과 주제에 관한 연구
    김대숙 [2004]
  • <나무꾼과 선녀>의 결말 양상에 대한 문학치료적 해석의 의의
    김정애 [2012]
  • <나무꾼과 선녀> 설화에 나타난 결혼관의 유형과 그 사회적 의미
    권애자 [2018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