수능 국어 영역에 대한 비판적 점검과발전적 방향 모색-수능 평가의 본질 회복을 향하여-

류수열 2019년
' 수능 국어 영역에 대한 비판적 점검과발전적 방향 모색-수능 평가의 본질 회복을 향하여-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수능 국어
  • College Scholastic Ability
  • Knowledge
  • Korean language area is CSAT
  • Thinking Ability
  • high school curriculum
  • multiple-choicequestions
  • 고등학교 교육과정
  • 사고력
  • 선다형문항
  • 수학능력
  • 지식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2,051 0

0.0%

' 수능 국어 영역에 대한 비판적 점검과발전적 방향 모색-수능 평가의 본질 회복을 향하여-' 의 참고문헌

  • 현대교육평가
    성태제 [2002]
  •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
  • 점수로 줄 세우는 ‘학력고사’식 수능이 교육 망쳤다
  • 시와 언어문화
    김대행 [2018]
  • 수능으로 국어교육 되돌아보기
    이도영 [2016]
  • 수능 문학 영역 평가 문항의 양호도와 개선 방안에 대한 조사 연구
    남민우 [2016]
  • 수능 문법 평가 문항에 대한 비판적 분석 -이원분류에 따른 문항 타당성 검토를 중심으로-
    김규훈 [2019]
  • 수능 국어 영역 `화법과 작문` 평가 문항의 양호도 조사 연구
    권태현 [2019]
  • 사고력신장을 위한 프로그램개발 연구(Ⅴ)
    허경철 [1991]
  • 미국 SAT 작문 평가 문항 분석을 통한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 영역의 작문 평가 개선 방안 탐색
    최숙기 [2018]
  • 대학입학시험 문학능력 평가의 비판적 검토 및 과제
    이민희 [2018]
  •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 매뉴얼-언어 영역
  • 대학수학능력시험 “국어” 작문 영역 평가의 타당성 검토 - 선다형 점수와 수행형 점수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-
    장성민 [2016]
  • 국어교과학의 지평
    김대행 [1995]
  • 국어과 읽기 평가 맥락에서 과학 지문의 특성 연구
    주세형 [2015]
  • ‘대학수학능력시험’의 성격 및 목적