부산의 장소성과 향토음식에 대한 인문학적 고찰

유진아 2019년
' 부산의 장소성과 향토음식에 대한 인문학적 고찰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Anovies
  • Dongnae Pajeon
  • Fish Cake
  • Local Culture
  • Local cuisine
  • Pork Soup
  • Sanseong Makgeolli
  • busan
  • 동래파전
  • 돼지국밥
  • 멸치회
  • 부산
  • 산성막걸리
  • 어묵
  • 지역 문화
  • 향토음식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966 0

0.0%

' 부산의 장소성과 향토음식에 대한 인문학적 고찰' 의 참고문헌

  • 해항도시 부산과 인천의 음식문화변동 분석
    이종수 [2014]
  • 한국학에서 지역연구의 방법론과 과제
    김동철 [2009]
  • 한국전쟁 피난민들의 정착과 장소성 - 부산 당감동 월남 피난민마을을 중심으로 -
    차철욱 [2010]
  • 한국전쟁 피난민들의 부산 이주와 생활공간
    차철욱 [2010]
  • 한국요리문화
    이성우 [1985]
  • 장소와 장소상실
  • 장소성을 이용한 충무공이순신 향토음식브랜드개발 사례분석
    최석 [2012]
  • 장소성에 입각한 하멜의 문화콘텐츠 자원화
    최석 [2008]
  • 장소·인간·생태적 삶
    신문수 [2007]
  • 음식문화축제 방문객의 동기에 따른 세분화와 만족도 - 전주 천년의 맛축제를 중심으로 -
    김주연 [2009]
  • 음식문화와 환경 그리고 그 반성과 대안
    박병상 [2002]
  • 음식과 먹기의 사회학
  • 음식 : 문화융합의 장
    김광억 [2015]
  • 식민지의 접경, 식민주의의 공백 - 장소로서의 부산 -
    허병식 [2011]
  • 시인 유치환과 부산의 장소성
    조동구 [2016]
  • 소막마을의 변화와 주민들의 장소 인식
    공윤경 [2017]
  • 부산지역 향토음식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-동래파전을 중심으로-
    조용범 [2007]
  • 부산의 전통, 향토음식의 현황 고찰
    신애숙 [2000]
  • 부산의 음식 생성과 변화
    박훈하 [2010]
  • 부산의 역사와 문화
    최연주 [2017]
  • 부산소설의 지리적 상상력
    황국명 [2012]
  • 부산, 그 삶터의 변화: 공간문화적 관점
    김민수 [2005]
  • 부산 향토음식문화의 형성과정 고찰 – 생선회와 어묵을 중심으로
    김정하 [2013]
  • 부산 향토음식 동래파전의 조리표준화 및 영양분석
    신은수 [2007]
  • 부산 산성 마을의 기층문화
    김승찬 [1994]
  • 방법으로서의 부산-해양문화도시로 가는 길-
    구모룡 [2008]
  • 동래파전에 대한 연구결과
  • 대중영상매체를 통해 바라본 한국 음식문화의 재인식
    김호연 [2012]
  • 기장 향토음식의 조리표준화(제2보) -미역설치, 몰설치, 기장우묵, 섞박지-
    김소미 [2007]
  • 공간, 장소, 젠더
  • 가정에서 이어오는 맛-부산의 밥상
  • 『축제와 문명』
    류정아 [1998]
  • 『근대의 멸치, 제국의 멸치』
    김수희 [2015]
  • 「도시 뒷골목의 ‘장소 기억’ - 종로 피맛골의 사례」
    전종한 [2009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