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 ‘식민지 근대화’ 논쟁과 ‘근대성’ 인식의 재검토: 근대성 개념의 간학문적 논의를 중심으로

김두진 2019년
' 한국 ‘식민지 근대화’ 논쟁과 ‘근대성’ 인식의 재검토: 근대성 개념의 간학문적 논의를 중심으로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Colonial Modernization
  • Desyncronized
  • Exploitation Theory
  • Modernity
  • Multiple Modernities
  • transnationalhistory
  • 근대성
  • 다중 근대성
  • 비동시적
  • 식민지 근대화론
  • 식민지 수탈론
  • 트랜스내셔널히스토리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729 0

0.0%

' 한국 ‘식민지 근대화’ 논쟁과 ‘근대성’ 인식의 재검토: 근대성 개념의 간학문적 논의를 중심으로' 의 참고문헌

  • 현대 동아시아 국가의 형성과 발전
    조원빈 [2016]
  • 행정관료의 식민지적 기원을 통해 본 발전국가론과 식민지 근대화론의 전제에 대한 검토:1960년 중앙공무원에 대한 개괄 및 로짓분석과 성향점수매칭분석을 중심으로
    박선경 [2015]
  • 해방 전후사의 재인식
    박지향 [2006]
  • 해방 전후사의 재인식
    이철우 [2006]
  • 한국의 식민지적 근대성찰: 근대주의 비판과 평화공존의 역사학 모색
    정태헌 [2007]
  • 한국의 식민지 근대성:내재적 발전론과 식민지 근대화론을 넘어서
    이철우 [2006]
  • 한국의 식민지 근대성: 내재적 발전론과 식민지 근대화론을 넘어서
    도면회 [2006]
  • 한국의 식민지 근대성: 내재적 발전론과 식민지 근대화론을 넘어서
    신기욱 [2006]
  • 한국의 식민지 근대성: 내재적 발전론과 식민지 근대화론을 넘어서
  • 한국의 식민지 근대성: 내재적 발전론과 식민지 근대화론을 넘어서
  • 한국의 근대성 연구와 ‘근대주의’
    황정아 [2016]
  • 한국의 경제성장: 1910-1945
    김낙년 [2006]
  • 한국근대문화사론과 근대성의 담론들: 1930년대 후반 비평사 연구를 중심으로
    이현식 [2001]
  • 한국경제사 연구의 동향과 과제
    이영훈 [2014]
  • 한국·미완의 근대화 프로젝트와 탈근대론
    윤건차 [2002]
  • 한국 근대성의 문제와 탈근대화
    강내희 [2000]
  • 학문장과 동아시아
    마인섭 [2013]
  • 트랜스내셔널 히스토리의 가능성과 한계
    정현백 [2008]
  • 트랜스내셔널 히스토리(Transnational History)의 가능성 - 한국근대사를 중심으로 -
    윤해동 [2008]
  • 지난 천년 한국경제사의 4가지 쟁점: 종합적 접근의 시도
    이근 [2001]
  • 조선 총독정치연구
    전상숙 [2012]
  • 제국과 식민지를 연구하는 또 하나의 시각 : ‘트랜스내셔널 역사학’과 ‘다양한 근대성(multiple modernities)’의 관점
    박용희 [2009]
  • 일본과 서구의 식민통치 비교
    강만길 [2004]
  • 일본 학자가 본 식민지 근대화론
  • 역사 속의 한일관계
    송규진 [2009]
  • 애덤 스미스: 식민지 정책과 경제발전
    김광수 [2011]
  • 안병직 교수 제자의 ‘식민지 근대화론’ 비판
  • 식민지근대를 둘러싼 논쟁의 경과와 그 함의: 경제사학계의 논의를 중심으로
    조석곤 [2015]
  • 식민지 자본주의의 실체와 역사적 성격
    정태헌 [2010]
  • 식민지 근대의 패러독스
    윤해동 [2007]
  • 식민지 對 모국 간 경제마찰과 在朝日本人 사회의 대응: 1929-1936년 ‘鮮米擁護運動’의 정치학적 함의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
    기유정 [2009]
  • 법에 있어서 「근대」개념, 얼마나 유용한가
    이철우 [1999]
  • 문명의 역사적 비교, 그 연구경향 정리와 가능성 모색을 위하여
    박용희 [2003]
  • 동아시아의 역사 갈등과 한국사회의 집단기억
    안병직 [2008]
  • 동아시아 지역질서 이론
    은용수 [2018]
  • 대만ㆍ조선총독부의 초기 재정 비교연구 - ‘식민제국’ 일본의 식민지 통치역량과 관련하여 -
    문명기 [2009]
  • 대만・조선의 ‘식민지근대’의 격차 – 경찰 부문의 비교를 통하여
    문명기 [2013]
  • 근대 일본 식민지 통치모델의 轉移와 그 의미 ― ‘臺灣모델’의 關東州ㆍ朝鮮에의 적용 시도와 변용 ―
    문명기 [2012]
  • 국사의 신화를 넘어서
    윤해동 [2004]
  • 국부론 (하)
  • 경제변화과정에 관한 새로운 이해
  • 거시경제학의 눈으로 본 식민지 근대화론
    조장옥 [2017]
  • 개발 없는 개발: 일제하 조선경제 개발의 현상과 본질
    허수열 [2011]
  • 가지무라 히데키의 내재적 발전을 읽는다
    조관자 [2019]
  • 가지무라 히데키의 내재적 발전을 읽는다
    차승기 [2019]
  • 가지무라 히데키의 내재적 발전론을 다시 읽는다
    강원봉 [2014]
  • 『비동시성의 동시성 (한국 근대정치의 다중적 시간)』
    임혁백 [2014]
  • 『근대를 다시 읽는다: 한국 근대인식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위하여』
    윤해동 [2006]
  • ‘전지구적 근대성’과 민족주의
    임지현 [2003]
  • ‘식민지 근대화론’의 역사인식 해부
    홍석찬 [2007]
  • Contested Views of a Common Past: Revisions of History in Contemporary East Asia
    Ahn, Yonson [2008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