삼국시대 고분에 나타난 불교미술

차순철 2019년
논문상세정보
' 삼국시대 고분에 나타난 불교미술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Chamber Tomb
  • Lotus Patterned Brick
  • brick
  • buddhism
  • mural
  • 벽화
  • 불교
  • 석실분
  • 연화문전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,284 0

0.0%

' 삼국시대 고분에 나타난 불교미술' 의 참고문헌

  • 洛陽伽藍記校箋
    楊衒之 [2006]
  • 洛陽伽藍記
    楊衒之 [2001]
  • 한국의 벽화고분
    김기웅 [1982]
  • 특집 : 백제의 불교문화 ; 대통사지(大通寺址) 출토 백제 와당의 형식과 편년
    조원창 [2007]
  • 전 대가야궁성지
    박천수 [2006]
  • 장천1호분 예불도벽화의 불상양식 고찰
    이정효 [2007]
  • 장천 1호묘 불상예불도벽화와 불상의 시원문제
    문명대 [1991]
  • 월성 북서편, in월성해자 발굴조사보고서Ⅱ-본문-
  • 연화문으로 본 고령 고아동 대가야 벽화고분의 추가장 시기 검토
    조원창 [2008]
  • 순흥읍내리벽화고분 발굴조사보고서
  • 송산리 6호분 명문전(銘文塼) 재검토를 통한 무령왕릉 축조 재론 -오독(誤讀)이 빚은 기와 "량관와(梁官瓦)"-
    김태식 [2007]
  • 삼국시대의 미술문화
    진홍섭 [1976]
  • 삼국시대연구 2
    강인구 [2002]
  • 삼국시대 미륵신앙과 내세의식
    최연식 [2002]
  • 사적 제455호 아차산 일대 보루군 홍련봉 1·2보루
  • 불상의 수용문제와 장천 1호묘 불상예불도벽화
    문명대 [1998]
  • 베일 벗는 백제왕성의 문화상- 최근의 풍납토성 경당지구 발굴성과-
    권오영 [2008]
  • 백제 한성시대의 기와와 성
  • 백제 불교 사원의 성립과 전개
    이병호 [2014]
  • 무녕왕릉 발굴조사보고서
  • 료동성탑
    장상열 [1967]
  • 뚝섬(纛島)出土 金銅禪定印如來坐像의 國籍 問題 -東京藝術大學所藏 金銅如來坐像과의 비교를 중심으로-
    곽동석 [2000]
  • 동아시아 고대사지 비교연구(Ⅱ)-금당지편-
    이병호 [2010]
  • 덕흥리 고분벽화 “칠보행사도”의 묵서명과 5세기 고구려의 국왕근시기구
    이문기 [1999]
  • 덕흥리 고구려 고분벽화(德興里 高句麗 古墳壁畵)와 그 불교의식도(淨土往生七寶儀式圖)의 도상의미와 특징에 대한 새로운 해석
    문명대 [2013]
  • 대동강 류역 고분 발굴 보고
  • 다경와요지 출토 신라와전소고
    김성구 [1983]
  • 기와를 통하여 본 락사터의 년대와 성격
    김영일 [2014]
  • 공주 송산리 6호분 벽화의 제작기술 고찰
    한경순 [2011]
  • 공주 반죽동(197-4번지) 한옥신축부지 내 유적 소규모 국비지원 발굴조사(중간)결과서
  • 공산성 성안마을 제9차 발굴조사 백제시대 왕궁관련 유적Ⅳ
    공주시 [2019]
  • 고령벽화고분조사보고
    김원룡 [1967]
  • 고령 고아동 벽화고분 약보
    김원룡 [1964]
  • 고령 고아동 벽화고분 실측조사보고
  • 고령 고아2동 고분조사보고, in 인동·불로동·고령 고아 고분발굴조사보고
    김영하 [1966]
  • 고대 동아시아의 문명교류사의 빛, 무령왕릉
    권오영 [2005]
  • 고구려의 문화와 사상
    고광의 [2007]
  • 고구려벽화고분의 기원에 대한 연구-한국고대불교미술에 대한 중국의 영향
    김원용 [1960]
  •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하늘연꽃
    전호태 [1990]
  • 고구려 고분 연구
    강현숙 [2013]
  • 가야 고령 고아동 벽화고분의 조영과 성격
    정호섭 [2014]
  • 高句麗의 寺院 造成과 그 意味
    신동하 [1988]
  • 集安新出土文字瓦當及譯讀
    秋鐵華 [1985]
  • 集安出土出土的高句麗瓦當及其年代
    林至德 [1985]
  • 集安 高句麗 王陵 出土遺物의 諸 問題
    최종택 [2006]
  • 纛島出土 金銅佛像
    김원용 [1961]
  • 百濟와 梁의 교섭과 大通寺
    조윤재 [2011]
  • 百濟「大通寺式」수막새의 성립과 전개-中國 南朝系 造瓦技術의 전파-
  • 漢城期 百濟 기와 제작기술의 展開樣相 - 풍납토성 경당지구 출토 기와를 중심으로 -
    정치영 [2007]
  • 武寧王陵 新報告書Ⅰ
  • 東北亜考古学論叢
    万雄飛 [2010]
  • 朝鮮半島に流入した諸文化要素の硏究
  • 德興里壁畵古墳 硏究 - 중국의 지역적 영향관계와 도상의 연원을 중심으로 -
    박현주 [2006]
  • 宋山里6號墳 銘文塼 판독에 대한 管見
    조윤재 [2008]
  • 夢村土城 內 高句麗遺蹟 再考
    최종택 [2002]
  • 壁畵古墳の系譜
    齊藤忠 [1986]
  • 古代東アジアの裝飾墓
    町田章 [1986]
  • 公州 校村里 塼室墳의 性格과 位相 再考
    정치영 [2015]
  • ‘六 扶餘郡’, 京畿道廣州·高陽·楊州·忠淸南道天安·公州·扶餘·靑陽·論山·全羅北道益山及全羅南道羅州十郡古蹟調査報告, 大正六年度古蹟調査報告
  • 5세기 고구려 고분벽화의 불교적 요소와 그 연원
    김진순 [2008]
  • 5세기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불교적 내세관
    전호태 [1989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