예비 한국어 교사의 문법 평가 양상 분석: 교사 교육용 기초 자료 구축을 목적으로

이윤진 2019년
' 예비 한국어 교사의 문법 평가 양상 분석: 교사 교육용 기초 자료 구축을 목적으로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grammar evaluation skill
  • grammar evaluation skills assessment
  • pre-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
  • teacher training
  • 교사교육
  • 문법 평가 역량
  • 문법 평가 진단지
  • 예비 한국어 교사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813 0

0.0%

' 예비 한국어 교사의 문법 평가 양상 분석: 교사 교육용 기초 자료 구축을 목적으로' 의 참고문헌

  • 한국인과 중국인 예비 한국어 교사 대상 채점자 교육 사례
    이두용 [2018]
  • 한국어능력시험에서의 문법 평가 연구
    이은경 [2005]
  • 한국어 숙달도 평가에 대한 연구: 한국어 능력시험을 중심으로
    정지윤 [2011]
  • 한국어 구어 문법 평가의 방향
    정명숙 [2011]
  •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능력과 초급 단계의 문화 능력 평가 도구 개발
    박은하 [2016]
  • 한국어 교육 성취도 평가 분석 사례 연구 - 특정 대학 기관 중급 성취도 평가의 내용 타당도를 중심으로 -
    구민지 [2014]
  • 한국어 교사의 학습자 오류 평가에 대한 연구 - 원어민(NS) 교사와 비원어민(NNS) 교사의 오류 판정 양상을 중심으로
    강남욱 [2008]
  • 한국어 교사의 채점자 훈련 모형 개발
    최윤곤 [2013]
  •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평가 도구 개발의 쟁점과 과제
    민병곤 [2016]
  • 청소년 대상 한국어 능력 평가 개발 방안 - 주제를 중심으로 -
    김선정 [2011]
  • 온라인 대중 공개강좌(MOOC) 한국어 수업에서 학습자 참여형 쓰기 평가의 효용성
    김성숙 [2016]
  • 예비 국어 교사의 문법 평가 문항 설계 양상 연구
    남가영 [2013]
  • 문법 교사의 오개념 유형화 연구
    이관희 [2015]
  • 「한국어 문법 평가 연구: 숙달도 평가와 성취도 평가를 중심으로」
    방성원 [2009]
  • 「한국어 능력 시험 문법 문항 유형 분석: TOPIK을 중심으로」
    유해준 [2012]
  • “한국어 말하기 능력 평가 도구 개발 연구.”
    전나영 [2007]
  • “아동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 범주 및 평가 구인 설정 연구.”
    이준호 [2015]
  • Research on Korean Language Placement Test Development: Based on Selected English Language Placement Tools
    이준호 [2016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