신동엽 시에 나타난 ‘백제’와 ‘혁명’의 역사화- ‘아사달’, ‘아사녀’ 표상의 변주 양상을 중심으로 -

한상철 2019년
논문상세정보
' 신동엽 시에 나타난 ‘백제’와 ‘혁명’의 역사화- ‘아사달’, ‘아사녀’ 표상의 변주 양상을 중심으로 -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Asadal
  • Asanyeo
  • Revolution
  • baekje
  • neutrality
  • shin dong-yeop
  • 백제
  • 신동엽
  • 아사녀
  • 아사달
  • 중립
  • 혁명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,389 0

0.0%

' 신동엽 시에 나타난 ‘백제’와 ‘혁명’의 역사화- ‘아사달’, ‘아사녀’ 표상의 변주 양상을 중심으로 -' 의 참고문헌

  • 히라야마 야키치, 신동엽과 회상의 시학-시인 신동엽 연구(4)
    김응교 [2006]
  • 현진건의 <무영탑> 연구 - 민족을 상상하는 방식과 그 문학적 의미에 관하여 -
    양진오 [2003]
  • 현대시의 운명, 원치 않았던
    오문석 [2012]
  • 한국 근대소설에 나타난 신라-현진건의??무영탑??과 이광수의??원효대사??를 중심으로-
    황종연 [2007]
  • 폐허의 고도와 창조된 신도(神都)
    허병식 [2009]
  • 증보판 신동엽전집
    신동엽 [1990]
  • 조선전통문예 일본어번역의 정치성과 현진건의 『무영탑』에 나타난 민족의식 고찰
    김효순 [2015]
  • 일제강점기 경주지역 불교유적조사와 경주고적보존회의 『慶州古蹟及遺物調書』
    김동하 [2013]
  • 일제 식민지 상황에서의 부여(扶餘) 고적에 대한 재해석과 '관광명소'화
    최석영 [2003]
  • 오도답파여행 53신
  • 역사의 대지를 객토하는 전경인적(全耕人的) 시인 ―신동엽의 유작시 <蠻地의 音樂>을 중심으로―
    고명철 [2005]
  • 아사녀의 해방 - 신동엽의 ‘탈식민적’ 글쓰기
    이경수 [2004]
  • 실록 충남반세기
    변평섭 [1983]
  • 신동엽의 『금강』에 나타난 자연 표상과 아나키즘
    한상철 [2016]
  • 신동엽의 <석가탑>과 현진건의 『무영탑』 비교 연구 ― ‘비어 있음’의 이미지를 중심으로
    이대성 [2019]
  • 신동엽 시전집
    강형철 [2013]
  • 신동엽
    김준오 [1997]
  • 식민교육독법: 백제-부여 내러티브의 조립과 주입
    박균섭 [2017]
  • 민족시인 신동엽
    구중서 [1999]
  • 민족시인 신동엽
    김윤태 [1999]
  • 경주 고도 순례(7)
  • 慶州の傳說(三)
  • 『시인 신동엽』
    김응교 [2005]
  • 「신동엽의 새로운 혁명, ‘중립’」
    김희정 [2014]
  • 「신동엽과 1960년대 : 한일협정과 베트남 파병 문제를 중심으로」
    하상일 [2017]
  • 「무영탑 전설의 전승과 변이 과정에 대한 연구」
    강석근 [2011]
  • ‘민주사회주의’의 유령과 중립통일론의 정치학― 1960년대 김수영·신동엽 시의 정치적 무의식에 대하여
    박대현 [2017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