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솝우화의 교육적 해석: 우화로서의 특징과 그 교육적 기능을 중심으로

장정호 2019년
' 이솝우화의 교육적 해석: 우화로서의 특징과 그 교육적 기능을 중심으로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aesop's fables
  • childeducation
  • lesson
  • metaphor
  • personification
  • 교훈
  • 비유
  • 아동교육
  • 의인화
  • 이솝우화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,068 0

0.0%

' 이솝우화의 교육적 해석: 우화로서의 특징과 그 교육적 기능을 중심으로' 의 참고문헌

  • 한국 전래동화의 교육학적 이해: 옛 이야기의 교육적 기능과 의의를 중심으로
    장정호 [2013]
  • 풍자 우화 그리고 계몽담론
    권영민 [2008]
  • 책・어린이・어른
  • 전래동화의 교육 인간학적 기능
    강기수 [2007]
  • 인문학 소통을 위한 기호학적 접근
    이주은 [2017]
  • 이솝우화전집
    이솝 [2015]
  • 이솝우화를 통하여 본 아동의 도덕판단 발달: 콜버그의 이론 중 도덕지향을 중심으로
    백혜정 [2001]
  • 이솝우화
    이솝 [2019]
  • 이솝 우화의 번역에서 문체의 번역 방식과 대상 독자와의 관련성
    박옥수 [2016]
  • 우화의 힘, 이야기의 즐거움 : 라 퐁텐느의 「우화의 힘 Le Pouvoir des fables」연구
    원종익 [2011]
  • 우화의 창의적 맥락 읽기와 바꿔쓰기
    오인태 [1996]
  • 옛이야기의 매력ⅠⅡ
  • 어린이 문학의 즐거움Ⅱ
  • 어린이 문학의 즐거움Ⅰ
  • 아동문학교육론 : 창작 이론과 실제
    임원재 [2007]
  • 아동독자와 아동서사의 형성: 『신정심상소학』(1896)을 중심으로
    오현숙 [2015]
  • 서양 동화의 流入과 1920년대 한국 동화의 成立
    박혜숙 [2005]
  • 서사학과 문화기호학
    송효섭 [1996]
  • 서사 기호학과 이야기 해석학: 리쾨르와 그레마스를 중심으로
    이경래 [1998]
  • 문학 장르로서의 옛이야기
    구광본 [2011]
  • 동화의 환상과 현실
    이지호 [2017]
  • 근대계몽기의 ‘독본’과 서사 양식 - 紀事, 話, 이기, 이솝우화를 중심으로
    강진호 [2016]
  • 근대 계몽기 조선의 『이솝우화』
    유춘동 [2010]
  • 『조선어독본』에 수록된 이솝우화 연구 - <개미와 베짱이>류 이야기를 중심으로
    백현주 [2017]
  • ‘늑대와 어린 양’ 우화에 관한 비교 연구 - 이솝, 파에드루스, 라 퐁텐, 루터, 레싱을 중심으로
    이규영 [2006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