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소설에 나타난 포스트휴머니즘의 상상력—조하형의 <키메라의 아침>과 <조립식 보리수나무>를 중심으로

이소연 2019년
' 한국소설에 나타난 포스트휴머니즘의 상상력—조하형의 <키메라의 아침>과 <조립식 보리수나무>를 중심으로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artificial intelligence
  • biotechnology
  • disaster
  • human
  • meta-fiction
  • nirvana
  • nonhuman
  • posthumanism
  • science
  • technology
  • 과학
  • 기술
  • 메타픽션
  • 비인간
  • 생명공학
  • 인간
  • 인공지능
  • 재난
  • 포스트휴머니즘
  • 해탈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6,561 0

0.0%

' 한국소설에 나타난 포스트휴머니즘의 상상력—조하형의 <키메라의 아침>과 <조립식 보리수나무>를 중심으로' 의 참고문헌

  • 환상은 어떻게 현실을 넘어서는가: 박민규와 조하형의 소설
    차미령 [2006]
  • 한국 SF의 장르적 특징과 의의—근대화에 대한 프로파간다부터 포스트휴먼 담론까지
    이지용 [2019]
  • 포스트휴머니즘 시대의 과학담론과 문학적 상상력
    이양숙 [2019]
  • 포스트휴머니즘 비평과 SF ― 미래 인간을 위한 문학과 비평 이론의 모색
    노대원 [2018]
  • 포스트휴머니즘
  • 키메라의 아침
    조하형 [2004]
  • 최근 한국소설에 나타난 가상의 재앙: 편혜영, 윤이형, 조하형을 중심으로
    정여울 [2011]
  • 조립식 보리수나무
    조하형 [2008]
  • 장르문학에 대한 오해와 편견: 그는 왜 『키메라의 아침』의 아침이 SF가 아니라고 주장하는가?
    박 진 [2008]
  • 장르들과 접속하는 문학의 스펙트럼
    박 진 [2008]
  • 인쇄텍스트의 하이퍼텍스트성 연구
    음영철 [2011]
  • 유식불교의 이해
    목경찬 [2012]
  • 우리는 어떻게 포스트휴먼이 되었는가
  • 슈퍼인텔리전스: 경로, 위험, 전략
  • 서사도단(敍事道斷)의 서사
    우찬제 [2009]
  • 몸의 인지과학
  • 기어서 넘는 벌레, 상처를 긍정하는 몸
    김형중 [2008]
  • 과학기술학으로 이해한 재난의 자기동일성(identity)에 대한 시론(試論): 라투르와 하이데거의 접점으로서의 재난
    이준석 [2012]
  • 『인간 사물 동맹: 행위자네트워크 이론과 테크노사이언스』,
    홍성욱 [2010]
  • [작가의 편지] 몇 개의 주석들; 『키메라의 아침』에 관한
    조하형 [2008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