초등 5~6학년군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 활동 유형 분석

논문상세정보
' 초등 5~6학년군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 활동 유형 분석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2015 revised science national curriculum
  • 5th & 6th graders
  • elementary school
  •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
  • inquiry activity type
  • science textbook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598 0

0.0%

' 초등 5~6학년군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 활동 유형 분석' 의 참고문헌

  • 핵심역량과 과학과 교과역량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분석
    하지훈 [2016]
  • 한국 2009 개정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과 미국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 비교분석 - 3~4학년군 지구와 우주영역을 중심으로 -
    김윤경 [2016]
  • 토의·토론을 활용한 과학 실험 수업이 과학학습동기, 과학탐구능력 및 과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
    엄장희 [2018]
  •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캐릭터 삽화의 역할 분석: 2009개정 과학과 4학년 교과서를 대상으로
    성승민 [2016]
  • 초등 교과서에서 제시된 과학 탐구 활동의 분석
    심규철 [2007]
  • 초등 과학교과 교사용 지도서 생명 영역 단원 및 차시 목표의 일관성 분석
    김정민 [2008]
  • 초‧중등학교 교육과정
  • 중학생의 과학창의성 신장을 위한 과학글쓰기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
    황신영 [2013]
  •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생물2교과서의 탐구영역 비교 분석
    강상순 [2007]
  • 우리나라 초 ․ 중등학교 과학교육 발전을 위한 종합계획의 변천
    임용우 [2016]
  •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생명과학 교과서의 생명과학의 이해 관련 단원의 탐구활동 분석
    한화정 [2019]
  • 과학탐구의 핸즈온 활동 내용, 사고 활동 내용, 논리적 구조 측면에서의 초등 과학 교과서 분석 -지구와 우주 영역의 사례-
    신명경 [2013]
  • 과학과 교육과정
  • 과학과 교육 내용 개선을 위한 교육과정 내용 관련 쟁점 분석
    이재봉 [2010]
  • 과학 탐구 활동의 유형과 과학 탐구의 특징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
    성혜진 [2018]
  • 과학 공학적 실천에 의한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물질 영역의 탐구 활동 분석
    조성호 [2016]
  • 고등학교 통합과학 교과서에 나타난 탐구활동 유형 분석
    송신철 [2018]
  • 고교 과학과 교육과정 해설서
  • ‘화석 모형 만들기’ 탐구활동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분석 - 6차, 7차, 2007 개정, 2009 개정 초등과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-
    성승민 [2016]
  • Views of nature of science questionnaire(VNOS); Toward valid and meaningful assessment of learners' conceptions of nature of science
  • The inclusion of STS material in the most frequently used secondary science textbooks in the U. S
  • Teaching pupils"ideas-about-science" : Five dimensions of effective practice
  • Teachers’beliefs and self-reported use of inquiry in science education in public primary schools
    Lucero, M. [2013]
  • Reforming science teaching: What research says about inquiry
    Anderson RD [2002]
  • Promoting inquirybased science instruction : The validation of the science teacher inquiry rubric(STIR)
  • One course is not enough : Pre-service elementary teachers’retention of improved views of nature of science
  • Inquiry in science education : International perspectives
  • Gender and grade-level differences in science interest and participation
  • Describing"science practice"in learning settings
    Stroupe, D. [2015]
  • Analysis of essential features of inquiry found in articles published in The Science Teacher, 1998–2007
    Asay, L. D. [2010]
  • Am I like a scientist?’ : Primary children’s images of doing science in school
    Zhai, J. [2014]
  • 2015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의 주요 방향 및 쟁점 그리고 과학교실문화
    송진웅 [2015]
  • 2015 개정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 기준과 탐구 활동 변 화 분석
    박재근 [2017]
  •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 교과의 탐구활동 유형 분석- 3~4학년군 과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-
    송신철 [2019]
  •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생명과학I 교과서의 탐구활동 유형 분석
    송신철 [2018]
  • 2009 개정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생명과학 관련 창의․인성 교수 학습 활동 분석
    한화정 [2012]
  • 2007년 개정 초등 5, 6학년 과학 교과서 물질 영역에 제시된 탐구 활동 분석
    김지은 [2014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