공적영역에서의 부모전환기 부부친밀감: 바니 밀러-맥리모어의 살아있는 인간 망을 중심으로

이정란 2019년
논문상세정보
' 공적영역에서의 부모전환기 부부친밀감: 바니 밀러-맥리모어의 살아있는 인간 망을 중심으로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Marital Intimacy
  • Maternal Ideology
  • Mutual Relationship
  • Transition to Parenthood
  • public sphere
  • 공적 역할
  • 모성 이데올로기
  • 부모전환기
  • 부부친밀감
  • 상호성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375 0

0.0%

' 공적영역에서의 부모전환기 부부친밀감: 바니 밀러-맥리모어의 살아있는 인간 망을 중심으로' 의 참고문헌

  • 현대목회상담학자 연구
  • 페미니즘과 기독교
    강남순 [2004]
  • 커플관계 친밀감 연구
    유춘자 [2013]
  • 인간발달과 목회적 돌봄
  • 유년기와 사회
  • 우리 속에 숨어있는 힘
  • 여성학 : 여성주의 시각에서 바라본 또 다른 세상
    이재경 [2007]
  • 여성 분노 경험에 대한 여성주의 목회상담적 고찰: 크리스티 누 거의 방법론을 중심으로
    이아람 [2017]
  • 아이는 내가 낳았는데 남편이 왜 산후우울증 겪을까?
  • 분노하는 기독교인을 위한 변명
    정연득 [2013]
  • 목회상담학의 최근 연구동향: 「목회와 상담」 게재논문 분석(2001~2016)
    장미혜 [2017]
  • 목회상담의 최근 동향
  • 모성의 담론과 현실-어머니의 성·삶·정체성-
    심영희 [1999]
  • 가족치료의 이해
    정문자 [2018]
  • 가족치료-이론과 실제
    김유숙 [2005]
  • 가족치료 개념과 방법
  • 가족생활주기와 가족치료
  • 가정폭력에 대한 젠더 통합적 접근: [가정폭력 실태조사] 비판을 중심으로
    허민숙 [2013]
  • 『에릭슨의 인간이해』
    박아청 [2014]
  • 『가족치료 이론과 실제』
    김유숙 [2014]
  • “한국가족문화의 재고.”
    김혜영 [2006]
  • “여성주의 가족치료의 실천적 원리에 관한 연구.”
    김유순 [2000]
  • “여성의 부정적 자족감에서 관계지향으로의 전환: 여성주의 관점 에서.”
    정푸름 [2013]
  • “살아있는 인간 망과 Miller-McLemore의 목회신학 방법론.”
    하재성 [2010]
  • “산모를 위한 목회상담- 여성주의 목회상담 관점에서.”
    정연득 [2010]
  • “가족치료 이론에 대한 양성 평등주의자의 비판에 관한 연구.”
    김성천 [1993]
  • “가사 노동의 위기와 여성.”
    하재성 [2009]
  • Transitions to parenthood: His, Hers, and Theirs
  • Through the Eyes of Women : Insights for Pastoral Car
  •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and Marital Quality
  • The Effect of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on the Marriage Relationship: A Longitudinal Study
  • Smooth Versus Rocky Transitions to Parenthood: Family Systems in Developmental Context
  • Patterns of Marital Change across the Transition to Parenthood: Pregnancy to Three Years Postpartum
    Belsky, Jay [1990]
  • Insight and Responsibility
  • Identity Youth and Crisis
  • Feminist and Womanist Pastoral Theology
  • Also a Mother: Beyond Family Values
  • Also a Mother : Work and Family as Theological Dilemma