근대 한국과 헝가리 관계사 연구 – 噶蘇士傳의 수입과 독립정신의 고취를 중심으로 –

박성순 2019년
논문상세정보
' 근대 한국과 헝가리 관계사 연구 – 噶蘇士傳의 수입과 독립정신의 고취를 중심으로 –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Austro-Hungary Empire
  • Galsosa Jeon
  • Korean Independence Movement
  • Lajos Kossuth(噶蘇士)
  •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
  • 『噶蘇士傳』
  • 라요시 코슈트(噶蘇士)
  • 애국 계몽 운동
  • 오스트리아 ‒ 헝가리 제국
  • 한국독립운동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75 0

0.0%

' 근대 한국과 헝가리 관계사 연구 – 噶蘇士傳의 수입과 독립정신의 고취를 중심으로 –' 의 참고문헌

  • 李相卨傳
    윤병석 [1984]
  • 헝가리에 볼셰비키 혁명운동
  • 헝가리史
    이상협 [1996]
  • 헝가리 한반도사 연구 시론: 한반도사 관련 출판물과 한국사 교육을 중심으로
  • 한반도를 방문한 헝가리인들의 기억 비망록
  • 한말 애국계몽운동
    이균영 [1991]
  • 한말 애국계몽사상과 운동
    신용하 [1980]
  • 한국의 서양법수용사
    최종고 [1982]
  • 한국사 20
  • 한국민족주의의 성립과 독립운동사연구
    조동걸 [1989]
  • 한국근현대사강의
  • 한국근대사자료집성 4(한불관계자료)
  • 한국근대사자료집성 14
  • 한국개화사상연구
    이광린 [1979]
  • 한국 – 헝가리 교류의 첫 장
  • 청-일 간도협약의 무효와 한국의 간도영유권
    노영돈 [2004]
  • 조선총독부관보
  • 일제강점기 한문소설 작가 震庵 李輔相의 행적과 작품 활동 연구
    김성철 [2012]
  • 우사조동걸전집 3권 한국독립운동사총설
    조동걸 [2011]
  • 완역 매천야록
    황현 [1994]
  • 오스트리아-헝가리 제국의 해체이후 동유럽 민족 국가의 성립
    김지영 [2019]
  • 오스트리아-헝가리 제국(Austro-Hungarian Empire)에서대타협안의 한계와 군악대·군대 문화현상을 통한 정체성 형성의 가능성
    김새미 [2017]
  • 오스트리아-헝가리 이중제국의 국가체제와 민족문제
    박영재 [2007]
  • 영웅서사의 동아시아적 재맥락화 ―코슈트傳의 지역간 의미 편차
    손성준 [2011]
  • 애국계몽운동 I-정치사회운동
    유영렬 [2007]
  • 신편한국사 39
  • 서영해의 재불 선전활동과 독립운동
    김민호 [2018]
  • 서북학회월보 11, 잡저; 論毅力
  • 삼천리 10-1, 동군관계
  • 두 가지 정체성의 공존: 헝가리인의 비(非)유럽적 기원과 유럽적 ‘자기인식
    김지영 [2013]
  • 동광 37, 金億군의 백과사전 집필
  • 동광 37, (해외논단) 대토론 제목 자본주의 문명의 긍정? 부정?
  • 동광 25, 논설: 유고國의 농업개혁
  • 대한흥학보 8, 논설; 靑年國之元氣(吉昇翊)
  •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6·7
  •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18
  •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불특파위원, 서영해의 독립운동
    장석흥 [2018]
  • 대동학회월보 15, 愛惜寸陰(金文演)
  • 구주 산하를 피로 물들인 대전쟁 제3년
  • 고종실록 29권
  • 고종시대사 3
  • 駐韓日本公使館記錄 25
  • 開花期小說硏究
    河東鎬 [1972]
  • 近代韓國外交史年表
    김원모 [1984]
  • 舊韓末 愛國啓蒙運動時期 梁啓超 문장의 전입과 그 영향
    신승하 [1998]
  • 統監府文書 8, 韓日合邦 문제에 대한 憲兵隊長 및 警視總監의 보고서 제출 件(1909.12.12)
  • 朝鮮敎育史 하
    李萬珪 [1947]
  • 匈牙利愛國者 噶蘇士傳
    梁啓超 [1908]
  • 「官報」
  • 《매일신보》
  •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March 1st Movement and its comparison with the Hungarian struggle for freedom in the mid 19th century
  • 19C와 20C 轉換期의 韓國에 관한 오스트리아·헝가리 外交資料
    펜들러 [1990]
  • 1920년대 이후 미주·유럽지역의 독립운동
    고정휴 [2009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