인식목표와 인식과정의 관점에서 본 유식학의 치유적 함의

윤희조 2019년
' 인식목표와 인식과정의 관점에서 본 유식학의 치유적 함의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Cognition goal
  • Cognition process
  • The eighth consciousness
  • The seventh consciousness
  • The sixth consciousness
  • Three types of consciousness
  • Three types of nature of phenomena
  • consciousness-only
  • 삼성
  • 삼식
  • 유식
  • 육식
  • 인식 목표
  • 인식과정
  • 칠식
  • 팔식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24 0

0.0%

' 인식목표와 인식과정의 관점에서 본 유식학의 치유적 함의' 의 참고문헌

  • 한국유식학연구사
    김성철 [2006]
  • 중관과 유식
  • 유식학의 연구현황과 연구과제
    김치온 [2013]
  • 유식사상
    勝呂 [1993]
  • 유식불교의 심리치료적 특징 고찰 - 선행연구 분석과 연구방향 모색 -
    박재용 [2015]
  • 유식불교와 심리치료 - 연구경향 분석과 과제 -
    박재용 [2015]
  • 유식문헌에서의 三性說의 유형과 그 해석
    안성두 [2005]
  • 유식과 의식의 전환
    이혜경 [2015]
  • 영역과 정의의 관점에서 보는 번뇌의 심리학
    윤희조 [2018]
  • 영상관법의 심리치료적 함의
    인경 [2008]
  • 알라야식의 연원에 관한 一考 ―上座 슈리라타의 18界 이해를 중심으로
    권오민 [2010]
  • 알라야식의 기원에 관한 최근의 논의 ─람버트 슈미트하우젠과 하르트무트 뷔셔를 중심으로
    김성철 [2010]
  • 아비담마 종합 해설
  • 아비담마 길라잡이
    Anurudha [2002]
  • 아뢰야식이 외부의 객관세계를 통섭하는 방식 - 유식논서에 나타난 기세간종자설을 중심으로 -
    강명희 [2015]
  • 수행법 연구
    안성두 [2005]
  • 불교와 정신신경면역학: 생명과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가능성에 대한 일고찰
    윤희조 [2016]
  • 불교심리학사전
    齊滕 明 [2017]
  • 명상심리치료
  • 명상상담 10년 연구사 검토
    이필원 [2017]
  • 맛지마니까야 1
  • 마하박가-울장대품
    전재성 [2014]
  • 마음과 자연환경과의 관계 -『유가사지론』종자설 중심으로-
    강명희 [2014]
  • 근본불교
    이중표 [2003]
  • 安慧의 <釋>에 따른 唯識三十頌의 이해
    이지수 [1998]
  • 唯識性(vijñaptimātratā)의 定義에 대한 고찰
    이혜경 [2010]
  • 中論
  • 上座 슈리라타의 ‘一心’과 알라야識
    권오민 [2014]
  • 「불교심리학의 관점에서 보는 네 가지 차원의 마음」
    윤희조 [2017]
  • PED = The Pali Text Society’s Pali-English Dictionary
  • MMK = Nāgārjuna Mūlamadhyamakakārikāḥ