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02한일월드컵과 2018평창동계올림픽의 사회문화적 담론 분석

김영갑 2019년
논문상세정보
' 2002한일월드컵과 2018평창동계올림픽의 사회문화적 담론 분석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2002 Korea-Japan World Cup
  • 2002한일월드컵
  • 2018 Pyoungchang Winter Olympics
  • 2018 평창 동계올림픽
  • sport
  • sport culture
  • 스포츠
  • 스포츠문화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419 0

0.0%

' 2002한일월드컵과 2018평창동계올림픽의 사회문화적 담론 분석' 의 참고문헌

  • 한국축구 응원문화의 사회운동적 프레임 형성과정과
    김영갑 [2007]
  • 한국 스포츠문화의 현실과 과제(3): 엘리트스포츠의 작동 메커니즘과 지향점
    김영갑 [2015]
  • 한국 스포츠문화의 지향점과 선진화 대안 찾기
    김영갑 [2015]
  • 한국 스포츠문화의 미래적 응시: 스포츠컬처리즘
    김영갑 [2017]
  • 평창에서 꽃핀 남북스포츠 교류, 현재는 주춤
  • 정의론
    황경식 [2005]
  • 이어령의 보석 같은 말들
  • 월드컵축구 공동개최 안 해
  • 월드컵 한일공동개최 가능할까
  • 스포츠의 사회학적 이해
    한광걸 [2004]
  • 스포츠의 사회운동적 이해
    김동규 [2006]
  • 사회트렌드와 스포츠(1): 4차 산업혁명과 스포츠
    김영갑 [2017]
  • 디지로그
    이어령 [2006]
  • 네이버 지식백과
  • ‘평창평화도시 선포’
  • ‘올림픽 정신’에 부합하는 단일팀, 왜 논란일까
  • ‘6월-촛불항쟁’ ‘안보 불안’… 화합·평화올림픽 실현 주목
  • [평창]올림픽 유산 활용 스포츠관광 성과
  • [초점]여자 아이스하키 남북단일팀, 체육계 전체가 불안·불만
  • [월드컵 이후 한국사회] ② 신명의 에너지 모으자
  • [오피니언]사재혁 선수 폭력사태를 반성합니다
  • [오피니언] 사재혁 선수 폭력사태를 반성합니다
  • [세월호 4주기 특별기획] 대책 없는 교육정책… 생존수영 대란 오나
  • Master frames and cycles of protest
    Snow, A. D. [1992]
  • Frontiers in social movement theory
    Ferree, M. [1992]
  • Building social movement theory, Frontiers in social movement theory
  • <월드컵축구> `붉은 악마들' 광화문서 가두응원
  • <월드컵축구> "한국 축구가 달라지고 있다”
  • 2016 겨울광장의 열정, 2018 평창 국민통합으로 결실
  • 1986년 아시안게임과 1988년 서울올림픽의 사회문화적 담론 분석
    김영갑 [2018]
  • "더 이상 축구 강대국은 없다”-2002 한일월드컵이 이룬 축구 세계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