日據時期韓國的世界文學觀念和中國新文學的位置

장동천 2019년
' 日據時期韓國的世界文學觀念和中國新文學的位置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5.4 literature
  • Chinese new literature
  • Sino-Korean translation literature history
  • literature in the colonial period of Korea
  • perception of the world literature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0 0

0.0%

' 日據時期韓國的世界文學觀念和中國新文學的位置' 의 참고문헌

  • 「靑春」靑年들에게 文學을 勸하다
  • 「阿Q正傳」을 읽고
  • 梁建植의 三國演義 翻譯에 對하여
    洪尙勳 [2005]
  • 한국 근대 번역문학사 성립의 기원과 역사성
    박진영 [2014]
  • 중국 근대문학 번역의 계보와 역사적 성격
    박진영 [2014]
  • 일제강점기 한국 작가들의 중국 현대문학 바라보기와 수용양상 -梁建植, 李東谷, 梁明을 중심으로-
    이시활 [2009]
  • 식민지 문학의 전유와 근대문학 상상의 인식장치 - 식민지 시기 인도문학을 중심으로
    김복순 [2014]
  • 민족개조와 감정의 진화: 1920년대 이광수 문학론에 대한 예비적 고찰
    김동식 [2013]
  • 로컬리티의 재구성 : 조선/문학/전집의 사상
    박숙자 [2012]
  • 韓國의 文學全集 現況과 問題點
    姜珍浩 [2002]
  • 韓國史 Database
  • 韓國 開化期文學과 梁啓超
    牛林杰 [2002]
  • 靑春
    [1918]
  • 開闢, 第5~8號
  • 開闢, 第38號
  • 開闢, 第30號
  • 近代文學의 終言
  • 近代 韓中 交流의 基源 : 文學과 思想 그리고 學問의 交涉
    洪昔杓 [2015]
  • 胡適在韓國九十年
    金瑞恩 [2011]
  • 翻譯으로 만난 近代 — 魯迅≪狂人日記≫
  • 眞書와 原書
    薛義植 [1929]
  • 東明, 第37~40號
  • 日本硏究中國現當代文學論著索引 1919~1989
    孫立川 [1991]
  • 日據末期韓國期刊登載中國現代文學韓語譯文的背景及特點─以≪三千里≫月刊爲中心
    장동천 [2009]
  • 文學이란 何오
  • 文學革命後의 中國文藝觀 — 過去四十年間
  • 支那의 小說 及 戱曲에 就하여
  • 反新文學의 出版物이 流行하는 中國文壇의 奇現象
    梁建植 [1924]
  • 俗物 敎養의 誕生 ― 名作이라는 殖民의 幽靈
    朴淑子 [2012]
  • 中國의 思想革命과 文學革命
  • 中國短篇小說集
    梁建植 [1929]
  • 中國 新詩壇의 彗星「徐志摩」를 弔함
  • 1930년대 외국문학 수용의 좌표
    서은주 [2005]
  • 1910년대 『매일신보』 번안·번역 소설의 전개양상 - 식민담론과 영향관계를 중심으로
    이희정 [2006]
  • 18世紀 韓中 知識人의 文藝共和國
    鄭敏 [2014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