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민(移民)에서 이산(離散)으로의 여정 - 김창걸의 해방 후 작품을 중심으로 -

QIAN CHUNHUA 2019년
' 이민(移民)에서 이산(離散)으로의 여정 - 김창걸의 해방 후 작품을 중심으로 -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Kim Chang-keol
  • New Village
  • People Who Know Happiness
  • The Victory of the Village
  • diaspora
  • korean chinese
  • the identity of Korean Chinese
  • the korean war
  • 「마을의 승리」
  • 「새로운 마을」
  • 「행복을 아는 사람들」
  • 김창걸
  • 이산
  • 조선족 정체성
  • 중국조선족
  • 한국전쟁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,372 0

0.0%

' 이민(移民)에서 이산(離散)으로의 여정 - 김창걸의 해방 후 작품을 중심으로 -' 의 참고문헌

  • 해방을 전후한 창작환경의 차이가 작품에 미친 영향:김창걸의 「낙제」와 박영준의 「밀림의 여인」을 중심으로
    표언복 [2000]
  • 해방 후 조선족 소설문학연구
    이광일 [2003]
  • 해방 직후 延邊 조선인 사회의 변동과 6?25전쟁
    廉仁鎬 [2002]
  • 한국문학의 비교문학적 조명
    김호웅 [2001]
  • 중국조선족문학사
    오상순 [2007]
  • 중국조선민족문학대계11
  • 중국 조선족작가 김창걸의 문학 一瞥
    표언복 [1998]
  • 중국 조선족의 선택과 조선인 간부들의 역할 - 조선족의 장편소설과 조선인 간부들의 회고록과의 대비를 통하여
    이해영 [2015]
  • 중국 조선족 문학과 김창걸의 소설
    김종회 [2003]
  • 재만작가 김창걸론
    최경호 [1993]
  • 재만(在滿)작가 김창걸 소설에 나타난 ‘식민지 파시즘’_201
    김학면 [2007]
  • 일제 암흑기의 재만문학연구:김창걸 단편소설을 중심으로
    張秉禧 [1992]
  • 연변조선인의 국공양당 인식과 대응 — 1945년~1949년 —
    박정수 [2011]
  • 싹트는 대지
    신영철 [1941]
  • 또 하나의 한국전쟁 : 만주 조선인의 ‘조국’과 전쟁
    염인호 [2011]
  • 동북조선인민보
  • 동북아정세와 중국지역 한인의 귀환(1944~1946)-중·미 교섭을 중심으로-
    황선익 [2013]
  • 김창걸의 해방전 소설 연구
    이해영 [2010]
  • 김창걸 해방 후 소설에서 보이는 ‘국민(nation) 상상’
    최일 [2015]
  • 김창걸 소설 연구
    김형규 [2007]
  • 日帝强占期 在滿韓國文學硏究
    채훈 [1990]
  • 在滿朝鮮人文學硏究
    김호웅 [1997]
  • ≪동북조선인민보≫를 통해서 본 연변조선족과 6・25전쟁
    박정수 [2009]
  • 1920년대 용정의 사회 문화 환경과 중학교 설립운동
    김태국 [2010]
  • (20세기 중국조선족)문학사료전집3 : 김창걸 문학편
    권철 [2003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