‘빛과 소리’교육을 위한 과학·공학 융합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

논문상세정보
' ‘빛과 소리’교육을 위한 과학·공학 융합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Engineering Design
  • Science and Engineering Integrated Program
  • lightandsound
  • 공학설계
  • 과학·공학 융합 프로그램
  • 빛과 소리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39 0

0.0%

' ‘빛과 소리’교육을 위한 과학·공학 융합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' 의 참고문헌

  • 화학영역의 통합적 STEM 발명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
    조재주 [2011]
  • 초등학생의 공학에 대한 태도 및 공학 문제 해결에 대한 사례 연구:STEM 통합 접근 교육 프로그램 적용을 통해
    문대영 [2009]
  • 융합인재교육(STEAM)이 고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
    임강숙 [2014]
  • 융합인재교육(STEAM)을 위한 창의적 공학문제해결 성향 검사 도구 개발
    강주원 [2016]
  • 과학ㆍ수학ㆍ정보 교육진흥법 [법률 제14903호]
  • 공학적 설계와 과학 탐구 과정 기반의 STEM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
    이효녕 [2013]
  • 공학설계 측면에서 한국 STEAM 프로그램 분석틀 제안
    이동영 [2018]
  • ‘I actually contributed to their research’: The influence of an abbreviated summer apprenticeship program in science and engineering for diverse high-school learners
    Burgin SR [2014]
  • The impact of engineeringintegrated science (EIS) curricula on first-year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’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perception of engineering
    Nam YK [2016]
  • The impact of Engineering is Elementary (EiE) on students’ attitudes toward engineering and science
  • The Impact of Engineering Curriculum Units on Students’ Interest in Engineering and Science
  • Standards for K-12 Engineering Education?
  • STEM, STEAM 교육과 우리나라 융합인재교육의 이해와 해결 과제
    심재호 [2015]
  • STEM 통합 접근의 사전 공학 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
    문대영 [2008]
  • STEM 교육을 위한 기술 수업 설계 모형
    이소이 [2011]
  •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: For States, By States
  • NGSS and the landscape of engineering in K-12 state science standards
    Moore TJ [2015]
  • Instructional design issues in a cross-institutional collaboration within a distributed engineering educational environment
    Koszalka TA [2007]
  • High school students’ attitudes to and knowledge about engineering
    Hirsch LS [2013]
  • Handbook of design research methods in education: Innovations in science, technology, engineering, and mathematics learning and teaching
  • Engineering in K-12 Education:Understanding the Status and Improving the Prospects
  • CPS를 활용한 미래도시건설 프로젝트 수업이아동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
    이경화 [2006]
  • Bringing engineering design into high school science classrooms:The heating/cooling unit
    Apedoe X [2008]
  • Advancing engineering education in P-12 classrooms
    Brophy S [2008]
  • AbPS 창의력 프로그램을 적용한 수업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창의적 성향에 미치는 효과
    홍기칠 [2012]
  • A high-quality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eachers of grades 3-6 for implementing engineering into classrooms
    Guzey SS [2014]
  • A framework for quality K-12 engineering education: Research and development
  • A curricular framework for integrated STEM
    Roehrig H [2017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