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제 강점기 조선학과 민족학의 지식 지형에 따른 전설 채집 활동의 의미 -동아일보 ‘전설의 조선’ 연재물을 중심으로-

김경남 2019년
논문상세정보
' 일제 강점기 조선학과 민족학의 지식 지형에 따른 전설 채집 활동의 의미 -동아일보 ‘전설의 조선’ 연재물을 중심으로-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Joseon mind’
  • Joseon study
  • ethnology
  • knowledge terrain
  • legend
  • ‘Joseon thought
  • 민족학
  • 전설
  • 조선사상
  • 조선심
  • 조선학
  • 지식지형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237 0

0.0%

' 일제 강점기 조선학과 민족학의 지식 지형에 따른 전설 채집 활동의 의미 -동아일보 ‘전설의 조선’ 연재물을 중심으로-' 의 참고문헌

  • 한말 일제하 재조일본인의 조선고서 간행사업
    최혜주 [2009]
  • 한국의 민속문학과 전통문화
    김승찬 [2001]
  • 조선총독부가 1913년에 전국적으로 실시한 조선설화조사자료의 발굴과 그에 따른 해제 및 설화학적 검토
    강재철 [2012]
  • 조선전래동화집
    박영만 [1940]
  • 조선동화집-우리니라 최초 전래동화집(1924)의 번역・연구
    권혁래 [2003]
  • 조선동화집(1924)연구
    권혁래 [2013]
  • 조선동화집
  • 조선동화집
  • 조선동화의 근대적 채록 과정 연구Ⅰ - 1913~23년 근대 매체의 옛이야기 수집 활동
    장정희 [2016]
  • 일제강점기 설화・동화집 연구-우리 옛이야기의 정체성 찾기
    권혁래 [2013]
  • 일제 강점기 日本語 朝鮮說話集 『傳說の朝鮮』 수록 임진왜란 설화 연구
    장경남 [2015]
  • 일본인의 조선민담 연구고찰 -일제 강점기 일본어로 쓰여진 설화집에 나타난 兄弟像을 중심으로-
    박미경 [2009]
  • 옛이야기, 동화로 쓰기와 박영만의 <조선전래동화집>(1940) -식민지 시기 3대 전래동화집 <조선전래동화집>과 작가 박영만에 대하여-
    권혁래 [2005]
  • 심의린 『조선동화대집』 의 특징과 문학사적 위상
    김미영 [2011]
  • 식민지 조선과 근대 설화-일본인의 구비문학 조사와 조선인의 대응
    김광식 [2015]
  • 식민지 조선과 근대 설화
    김광식 [2015]
  • 수록 민담의 유형 분포 분석을 통한 일제 강점기 3대 전래동화집의 성격 고찰
    백민정 [2012]
  • 손진태 설화 연구의 특징과 의의
    김기형 [2013]
  • 박영만 『조선전래동화집』의 스토리텔링 기법 연구
    박현숙 [2015]
  • 미와 다마키『전설의 조선』의 일본 관련 설화에 대한 고찰
    조은애 [2015]
  • 문화인류학의 역사
  • 매일신보 1-12
  • 동서야담(東西野談)
    [1926]
  • 나카무라 료헤이(中村亮平)의 조선동화집
    이시준 [2013]
  • 근대 초기 설화·고전소설집 『조선물어집』의성격과 문학사적 의의
    권혁래 [2008]
  • 구비문학 관련 자료집-한국어・일본어 잡지편
    윤내현 [2007]
  • 계몽의 수단 : 민족어와 국가
    허재영 [2019]
  • 개벽
    [2006]
  • 開化의 三原則
  • 談話材料조선동화대집
    심의린 [1926]
  • 植民地時代における「朝鮮説話集」と博物学 - 三輪環『伝説の朝鮮』を中心に -
    조은애 [2016]
  • 朝鮮歷史通俗講話(7)
    崔南善 [1923]
  • 朝鮮歷史通俗講話(5)
    崔南善 [1923]
  • 朝鮮論
  • 朝鮮童話集
  • 朝鮮物語集
    高橋亨 [1910]
  • 朝鮮史禍と史蹟
  • 朝鮮古典解題(13)-李椒園忠翊의 椒園遺藁-
  • 最近朝鮮硏究의 業績과 再出發
  • 暗黑なる朝鮮-朝鮮叢話
  • 心理學과 物理學의 現效
  • 大入小의 一理-一毛端에 顯寶玉刹微塵裡에 轉大法輪
  • 壇君論(14)
  • 原始文化硏究와 古文獻傳說의 價値
  • 事物變遷의 硏究에 對 人類學的方法
    高義駿 [1896]
  • ‘조선적인 것’의 형성과 근대문화담론
    구재진 [2007]
  • 1920년 전후 일본어 조선설화 자료집
    김광식 [2018]
  • (사설) 朝鮮思想界의 將來-民族主義와 社會主義
  • (사설) 古傳說의 採集