촛불시위의 사회문화적 변화와 의미

김종법 2019년
논문상세정보
' 촛불시위의 사회문화적 변화와 의미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'CandlelightDemonstration'
  • Cultural TransformationsMovements
  • Korean Society
  • direct democracy
  • national sovereignty
  • 국민주권
  • 문화변혁운동
  • 직접민주주의
  • 촛불시위
  • 한국사회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289 0

0.0%

' 촛불시위의 사회문화적 변화와 의미' 의 참고문헌

  • 탄핵 광장의 안과 밖
    서복경 [2017]
  • 촛불혁명과 2017체제
    손호철 [2017]
  • 촛불집회와 한국사회의 공론영역: 숙의 민주주의와 공화주의를 중심으로
    홍성구 [2009]
  • 촛불집회와 정당정치개혁의 모색
    고원 [2008]
  • 촛불이 민주주의다
    권지희 [2008]
  • 촛불의 시간 : 군주, 국가의 시간에서 시민의 시간으로
    송호근 [2017]
  • 촛불시위를 통해 본 정치권력의 변화와 의미
    김종법 [2008]
  • 촛불 시위와 한국 시위문화의 변동 : 거시적 변화에 대한 미시적 설명
    김욱 [2010]
  • 직접행동과 숙의민주주의: ‘촛불집회’사례 연구
    강용진 [2008]
  • 인터넷 항의와 정치참여, 그리고 민주적 함의:2008년 촛불시위 사례
    고경민 [2010]
  • 새정치를 위하여 눈을 감아라: 촛불이 밝힌 국정철학, 시민이 말해야 대통령의 듣는다
    조중빈 [2017]
  • 박근혜 퇴진 촛불운동
    최영준 [2017]
  • 민주주의 패러다임의 재성찰
    윤성이 [2009]
  • 네트워크 시대의 시민운동 연구: 2008 촛불집회를 중심으로
    송경재 [2009]
  • 그람시의 군주론
    김종법 [2015]
  • “촛불혁명”의 희망은 무엇이었으며 그것은 어떻게 실현할 수 있는가?
    강명세 [2017]
  • “촛불의 정치와 민주주의 이론: 현실과 이론. 사실과 가치의 긴장과 균형”
    장 훈 [2017]
  • ‘2008년 촛불시위’의 영향 : 촛불 진화 후 ‘중도실용’ 구호를 내건 정부에 대한 시민의 ‘종이 돌’ 반격
    이완범 [2011]
  • http://www.raythep.com
  • http://www.gallup.co.kr
  • a cura di Gerratana Valentino, Quaderni del carcere
  • PC 통신, 인터넷기반 ‘부활의 변신’모색
  • 6월 항쟁과 한국의 민주주의
    정해 [2004]
  • 6월 민주항쟁과 한국사회 10년 II
    정해구 [1997]
  • 1인 시위와 촛불시위의 정치철학적 의미: 한나 아렌트적 해석
    채진원 [2010]
  • '미국산 쇠고기 수입반대 촛불시위'는 새로운 형태의 사회운동인가 : 2008년 촛불시위의 특징과 그 원인
    서광민 [2008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