‘모던 걸’의 공포와 ‘동지’의 수사학 : 『인간문제』에 나타난 강경애 사회주의 여성의식 재고(再考)

송인화 2019년
논문상세정보
' ‘모던 걸’의 공포와 ‘동지’의 수사학 : 『인간문제』에 나타난 강경애 사회주의 여성의식 재고(再考)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'Modern girl'
  • Fear
  • Heterogeneity
  • Intellectual woman
  • Patriarchism
  • kangkyungae
  • socialism
  • ‘New women'
  • ‘모던걸’
  • ‘신여성’
  • 가부장주의
  • 강경애
  • 공포
  • 사회주의
  • 이질성
  • 지식인여성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,080 0

0.0%

' ‘모던 걸’의 공포와 ‘동지’의 수사학 : 『인간문제』에 나타난 강경애 사회주의 여성의식 재고(再考)' 의 참고문헌

  • 페미니스트 성장소설과 자기발견의 체험: 강경애의 ‘어머니와 딸’ ‘인간문제’ ‘소금’을 중심으로
    서정자 [1991]
  • 차용된 남성 시점과 여성 발견의 한계-강경애 단편소설의 시점
    정미숙 [1999]
  • 인간문제(외)
    강경애 [2005]
  • 인간문제(외)
    서정자 [2005]
  • 여성작가와 사회주의-강경애의 경우
    임선애 [2009]
  • 신여성, 근대의 과잉
    김수진 [2009]
  • 신여성, 개념과 역사
    김경일 [2016]
  • 식민지시기 무산계급 여성들의 사적영역과 사회변혁 : 강경애 문학을 중심으로
    배상미 [2015]
  • 공포의 철학: 타자가 지옥이 된 시대를 살다
    유서연 [2017]
  • 강경애의 작품에 나타난 여성인식의 문제
    박혜경 [2003]
  • 강경애의 ‘인간문제’에 대한 여성비평적 연구
    송명희 [1997]
  • 강경애의 '프로-여성적 플롯'의 특징
    김복순 [2008]
  • 강경애 후기 소설과 체험의 윤리학 - 이산과 모성 체험을 중심으로
    김양선 [2004]
  • 강경애 문학에 나타난 지배담론의 영향과 여성적 정체성의 형성에 관한 연구
    김민정 [2004]
  • 강경애 – 문학에서의 성과 계급
    이상경 [1997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