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강 소설에 나타난 애도와 원한 연구 - 장편소설 『소년이 온다』(2014)를 중심으로 -

양진영 2019년
' 한강 소설에 나타난 애도와 원한 연구 - 장편소설 『소년이 온다』(2014)를 중심으로 -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2인칭 화법
  • Jean Améry
  • Literary autonomy
  • Primo Levi.
  • affect
  • ghost theory
  • grief work
  • second person narrative
  • testimony impossibility
  • 문학 자율성
  • 애도 작업
  • 유령론
  • 장아메리
  • 정동(affect)
  • 증언의 불가능성
  • 프리모 레비.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404 0

0.0%

' 한강 소설에 나타난 애도와 원한 연구 - 장편소설 『소년이 온다』(2014)를 중심으로 -' 의 참고문헌

  • 한국문학의 위상/문학사회학
    김현 [1993]
  • 한강 소설에 나타난 ‘분노의 정동’ 연구 - 장편소설 『소년이 온다』(2014)를 중심으로 -
    김소륜 [2018]
  • 죄와 속죄의 저편. 정복당한 사람의 극복을 위한 시도
  • 정동과 기억의 관계시학 - 한 강 『소년이 온다』를 중심으로 -
    정미숙 [2016]
  • 유령의 귀환과 비통한 마음의 서사
    김은하 [2015]
  • 오월을 호명하는 문학의 윤리 - 임철우의 『백년여관』과 한강의 『소년이 온다』를 중심으로 -
    강소희 [2015]
  • 오월 소설의 트라우마 유형과 문학적 치유 방안 연구
    유홍주 [2015]
  • 예술가의 사회적 책무: 폭력의 기억과 인간의 본질 ― 한강의 『소년이 온다』를 중심으로(2014) ―
    이숙 [2015]
  • 애도의 심연
    우찬제 [2018]
  • 아우슈비츠의 남은 자들
  • 소설이 ‘오월-죽음’을 사유하는 방식: 한강의 '소년이 온다'를 중심으로
    최윤경 [2016]
  • 소년이 온다
    한강 [2014]
  • 비물질노동과 다중
  • 미학이론
  • 문학과 유토피아
    김현 [1992]
  • 무의식에 관하여
  • 마르크스의 유령들
  • 나무-몸-시체-5.18 전후의 역사 폭력을 생각하는 삼각 운동-
    한순미 [2016]
  • 김현 비평에서 ‘이론적 실천’의 의미와 비평의 역할 - ‘시의 사회학’은 어떻게 가능한가?(1)
    조연정 [2016]
  • 김현 비평에서 ‘공감의 비평’론과 ‘현실 부정의 힘으로서의 문학’론의 상관성 연구 -아도르노 미학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
    한래희 [2014]
  • 공감의 시련: 한강의 『소년이 온다』에 대해
    김종엽 [2015]
  • 가라앉은 자와 구조된 자
  • ‘기억-정동’ 전쟁의 시대와 문학적 항쟁-한강의 『소년이 온다』(2014)가 놓인 자리-
    김미정 [2017]
  • ‘광주’를 현재화하는 일 -권여선의 『레가토』(2012)와 한강의 『소년이 온다』(2014)를 중심으로
    조연정 [2014]
  • 5월의 기억과 부끄러움 - 공선옥의「씨앗불」을 중심으로
    정명중 [2010]
  • 2인칭소설의 서술층위 연구
    황국명 [2009]
  • '결을 거슬러 역사를 솔질'하는 문학: 『밤의 눈』과 『소년이 온다』
    황정아 [2015]